부산시는 지난해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42%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시와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시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수(고속도로 제외)가 2017년 77명에서 45명으로 32명이 감소(42%)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이 발표한 11월 기준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수 통계자료에서도 시의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율이 40%대로 전국 평균 6% 감소율을 큰 폭으로 상회하며 전국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시의 고령인구 비율이 16.5%로 특·광역시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간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였던 점을 감안하면 단연 눈에 띄는 성과로 평가된다.
시는 초고령 사회 진입에 대비해 고령자 맞춤 교통안전 대책이 시급하다고 판단 지난해 3월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대책’을 수립해 고령보행자 안전보호, 고령운전자 안전운전 지원 등 3대 분야 9개 과제를 대책에 담아 한발 앞선 고령자 교통안전 정책을 추진한 결과가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시는 고령보행자 안전보호를 위한 교통안전 교육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5월부터 구·군, 부산경찰청, 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대한노인회와 합동으로 노인복지관·노인교실·경로당 등 3000여개 노인여가시설 중심으로 20여만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주기적으로 지속 실시했다.
특히 전국 최초로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장 2개소를 활용해 안전한 보행방법을 고령자 스스로 직접 체험하는 고령자 교통안전 방문교육도 5000여명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시행했다.
또한 고령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자에게 우대혜택을 제공하는 정책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교통카드 10만원 지원과 병원·식당·의류점·안경점 등 상업시설 이용 시 5~50%의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어르신 교통사랑 카드’발급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지난 한 해 5000명이 넘는 고령운전자가 면허증을 자진 반납했다. 이는 2017년에 비해 12배 증가한 수치이다. 올해부터는 서울시 양천구, 진주시 등 타 지자체에서도 시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시행 예정이다.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 등을 바탕으로 시 지난해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수도 2017년 162명에서 지난해 122명으로 40명이 감소(25%)했다. 최근 5년간 가장 큰 폭의 감소폭이다.
시는 올해에도 사람·안전 중심의 교통안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고령자 교통안전 교육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우대제도도 보완·발전해 고령자 교통안전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고령자 교통안전 교육을 전담할 인력을 자체 채용해 교통안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자 교통비 지원 예산도 확대했다. 연간 4000명씩 지원하는 어르신 교통사랑 카드 가맹점도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는 보행자의 안전을 높이고 걷고 싶은 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부 차량통행 속도를 하향하는 ‘안전속도 5030’사업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한다. 주․간선도로는 시속 50㎞로, 기타도로는 시속 30㎞로 제한속도가 조정된다.
시 관계자는 “시는 고령인구의 비율이 특·광역시 중 가장 높은 도시로, 한발 앞선 고령자 교통안전 대책이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에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면서 “올해에도 현재 시행 중인 시책은 더욱 보완·발전시키고,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높은 신규사업을 적극 추진해 오거돈 시장의 시민명령 1호인 ‘시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안전도시 부산’의 실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고령도시 부산’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42% 감소
입력 2019-01-07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