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 사실상 ‘무산’

입력 2019-01-04 17:19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이 공식 백지화됐다. 다만 청와대 개방과 관련해서 대통령 관저 이동 등은 중장기적으로 검토키로 했다.

광화문대통령시대위원장이었던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4일 청와대에서 브리핑을 갖고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청사로 이전할 경우, 청와대 영빈관·본관·헬기장 등의 대체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청와대 개방과 집무실 이전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마무리 이후에 장기적 사업으로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광화문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는 사업을 사실상 무기한 연기한 셈이다.

유 위원장은 “청와대 개방은 경복궁, 청와대, 북악산을 연결시켜서 광화문을 청와대 안으로 끌어들이는 개념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북악산 정축으로 올라갈 수 있는 방법으로 추진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렇게 되면 청와대의 대통령 관저 앞을 (연결축이) 통과하는 문제가 따른다”며 “관저 이전까지를 포함해서, 중장기적으로 (청와대 개방을) 추진하는 동선을 경호처와 함께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 위원장은 대통령 관저 이전과 관련해 “현 대통령만 살다 가는 집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된 위치에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하는 안을 경호처에서 건축용역을 줘서 안을 만들기로 잠정 결정했다”며 “지금 (관저를) 옮기지는 않더라도 이렇게 하는게 최선이라는 안까지는 제시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추진 중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이 광장 재구조화 사업은 오는 17일 심사결과가 발표된다”고 덧붙였다.

유 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에 전 문재인 대통령에게 광화문 집무실 이전의 보안·비용·역사성을 고려한 종합검토 내용을 보고했다. 사실상 공약 실행이 어렵다는 취지를 설명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도 이심전심으로 “충분히 이해한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문 대통령은 대선을 앞둔 2017년 4월 대통령 관저의 광화문 이전을 골자로 하는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공약한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불통의 시대를 끝내고 국민들 속에서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고, 국민들과 함께하는 시대를 열겠다”고 다짐했다. 2년여만에 공약이 공식적으로 무산되면서 ‘가능성 고려 없이 무작정 공약만 내놓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