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일 새해 처음으로 주재한 회의에서 반문(反文) 정서를 여과 없이 드러냈다.
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신년사, 민간인 사찰 의혹에 대한 특검 요구,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 폭로 등을 언급했다.
나 원내대표는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해 “결국 핵을 보유한 평화를 주장한 것”이라며 “북한의 전향적인 조치는 보이지 않고 한국의 변화만을 강요했다”고 지적했다. 또 “김 위원장이 더 이상 핵개발을 하지 않겠다면서도 기존 핵무기를 거론하지는 않았다”며 “‘새로운 길을 갈 수 있다’고 협박하며 핵 보유국의 지위를 강화하려 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한 청와대의 해석 역시 비판했다. 나 원내대표는 “청와대는 김 위원장 신년사를 두고 ‘진정한 남북관계 진전을 읽었다’고 말했다”며 “새해에도 청와대가 김 위원장 답방에만 매달릴지 우려된다”고 저격했다.
지난달 31일에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그는 청와대를 겨냥해 “핵심 증인은 불출석했다”며 “자료 제출 역시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과 임종석 비서실장 등이 출석하기는 했으나 박형철 반부패비서관 등이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이어 그는 “운영위를 겪으면서 형사 처벌이 가능한 국정조사와 청문회의 필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제 특검의 조사로 갈 수밖에 없다”고 피력했다.
그는 신 전 사무관을 둘러싼 논란도 언급했다. 그는 “이제 사찰·위선 정권에 덧붙여 또 하나 이름을 붙일 내부 고발자가 나타났다”며 “그가 폭로한 KT&G 사장 교체 압력, 전 정권 비판용 국채 발행 등을 고발하기 위한 관련 상임위(기획재정위) 소집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