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kepco Tech) 설립이 올해 본궤도에 오른다. 이달 말 최종 부지선정을 마치고 예비타당성 심의 등 설립절차에 들어간다.
한국전력은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오는 4일 정부 서울청사 균형위 대회의실에서 ‘한전공대의 성공적 설립을 위한 기본협약서 체결식’을 갖는다”고 2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한전공대 범정부 설립지원위원장인 송재호 균형위 위원장과 이용섭 광주시장, 김동찬 광주시의회 의장, 김영록 전남지사, 이용재 전남도의회 의장, 김종갑 한전 사장 등이 참석해 각각 협약서에 서명한다.
기본협약서는 한전공대의 조속한 개교목표 달성 노력과 지원, 지자체의 입지선정 절차·결과에 대한 수용, 향후 대학 인프라 조성지원 방안 등이 담긴다.
입지선정을 두고 경쟁 중인 지자체 간 갈등 해소와 대학 설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상호 협조체계 구축방안 등도 포함돼 있다.
한전공대 설립은 에너지 산업을 국가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정운영 5개년 계획’으로 채택돼 추진되고 있다.
오는 2022년 3월 개교할 한전공대는 학생수 1000명, 교수 100명, 부지 120만㎡ 규모로 설립된다.
한전 이를 위해 이달 중 광주시와 전남도로부터 설립 후보지를 3곳씩 추천 받는다. 지난해 전문가와 교수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는 총 6개 후보지를 대상으로 서면, 현장실사 등 평가 작업을 거쳐 이달 말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게 된다.
광주·전남 상생을 위한 한전공대 부지가 정해지면 이후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토대로 정부의 예비타당성 심의, 대학법인 설립허가 등 개교절차가 본격화된다.
이와관련, 국가균형위가 추죽이 된 ’한전공대설립지원위’는 예비타당성 심의면제 여부를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한전공대 유치전에 뛰어든 광주시는 동구를 제외한 4개 자치구로부터 각 한 곳씩을 제안 받아 최근 한전 측에 제안할 후보지를 3곳으로 압축했다.
서구는 매월동, 남구는 대촌동 도시첨단산단 인근 부지, 북구는 첨단3지구, 광산구는 삼도동 옛 축산시험장 부지를 후보지로 제시한 바 있다.
광주시와 경합 중인 전남도에서는 나주지역 내 ‘호혜원’ 일대와 나주혁신산단 인근 등 총 3곳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한전은 지난해 AT.Kearney사에 의뢰한 ‘한전공대의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글로벌 컨설팅 용역’을 현재 진행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기본협약서 체결은 유치경쟁 중인 광주시와 전남도, 한전 3곳이 한전공대 설립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성공적 이행을 끌어내기 위한 대승적 협조를 약속한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한전공대 설립 이달 말 부지선정 등 본궤도 오른다.
입력 2019-01-02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