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가위까지 등장…박경미 “블랙리스트, 박근혜 정부와 달라”

입력 2018-12-31 19:30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1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 나와 조직도를 보여주며 설명하고 있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해 박근혜 정부 때와는 성격이 다르다며 유전자 가위를 예시로 들며 반박했다.

박 의원은 31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 수사관이 작성한 블랙리스트는 부처에 요청하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정보를 정리한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조직은 첩보를 올리면 데스크가 판단해서 거르고 또 특감반장이 거르고 하는 상향식(bottom up) 시스템인데 김 전 수사관의 문서는 위로 전혀 올라가지 못한 문서”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그에 반해 박근혜 정권 당시 문제가 됐던 블랙리스트는 김기춘 전 비서실장으로부터 시작해 민정수석, 정무수석까지 내려오는 하향식 방식이라 이번 사안과는 큰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유전자 가위(크리스퍼)를 통해 나쁜 유전자를 제거하듯이 오히려 조국 민정수석이 블랙리스트라는 나쁜 유전자를 제거한 것”이라면서 “김 전 수사관이 전임 정부에서 습득한 불법 사찰이라는 습성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에 조 수석의 유전자 가위에 의해 잘린 것”이라고 말했다.

조 수석도 “김 전 수사관이 올린 107개의 첩보 대부분이 위로 보고되지 못하지 않았느냐”는 박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또 블랙리스트라는 나쁜 유전자를 없애기 위해 노력해달라는 박 의원의 요청에 조 수석은 “(박 의원이) 말한 취지대로 열심히 일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운영위 회의가 위원들에게 충분한 질의시간을 주는 데에는 인색하고 청와대의 일방적인 변명을 듣는 장이 되고 있다”며 반발했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