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지자체 최초 ‘고령친화산업 육성 종합계획’ 마련

입력 2018-12-31 13:27
부산시는 정부 정책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부산시 고령친화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부산시 고령친화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전국 지자체 가운데 처음 마련된 것이다.

시는 노인복지관·경로당, 양로·요양시설 등 의료·복지서비스 인프라가 풍부하고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가 구축돼 있다.

또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선정한 차세대 재활복지 의료기기 사업을 육성하는 등 고령친화산업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시는 2016년에 ‘고령친화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이후 2017년 고령친화산업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용역을 통해 그 기초자료를 토대로 전국 최초로 5개년(2019~2023년) 종합계획을 수립, 질병치료·재활 중심에서 예방·건강관리로 패러다임 변화가 이뤄진 4차 산업시대에 앞장서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종합계획은 기업지원을 통한 강소기업 육성, 판로 개척 및 홍보강화로 생태계 조성, 소비자 중심 R&D 활성화, 기술·기기를 활용한 독립생활 지원의 4대 전략을 수립, 15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앞으로 시는 종합계획에 따라 복지관·요양시설 등 수요자까지 모두 아우르는 고령친화산업융합협의체를 구성해 최신 기술 정보 공유를 위한 기술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영세 기업 지원을 통해 강소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시는 수요자 중심의 고령친화산업융합협의체 활성화, 서비스 R&D 기술 확보 및 상용화, 스타기업 3개사 육성을 목표로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 모두가 건강한 부산을 구현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홍보 및 판매 창구 부족으로 유통과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체를 위해 국제 복지재활시니어 전시회를 개최해 시장을 확대하는 동시에 제품과 구매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노인이나 보호자들을 위해 고령친화용품 홍보체험관도 매년 확충할 예정이다.

또 고령자 생활안전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홈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소비자 중심의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고, 복지용구 무료 대여 및 주택 내 안전손잡이, 미끄럼방지 매트 설치 등으로 고령자가 독립적이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R&D 개발, 전 주기적 기업 지원을 통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부산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육성하고 어르신들이 살기 좋은 ‘고령친화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