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31일 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 수사관의 폭로 관련 국회에 출석해 날 선 발언을 쏟아내며 “이번 사건의 본질은 김 전 수사관의 비위행위”라고 강조했다.
임 실장은 국회 운영위원회 현안 보고를 통해 “이번 사건의 본질은 비위로 곤경에 처한 범죄혐의자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 국정을 뒤흔들어보려 한 비뚤어진 일탈행위”라고 규정했다.
임 실장은 “문재인정부에서 정치적 목적의 사찰행위는 존재하지 않고, 민간인 사찰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면서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김 전 수사관의 경우 과거의 폐습을 버리지 못하는 일탈행위를 저질러 매 단계마다 시정명령과 엄중경고, 근신조치를 통해 바로잡고자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일탈 행위를 멈추지 않고 스폰서인 건설업자가 비리 혐의로 수사를 받자 경찰청 특수수사과로 찾아가 마치 청와대의 관심사안인 것처럼 위장 개입했다”고 했다.
조 수석 역시 김 전 수사관의 비위행위가 사태의 본질임을 강조했다. 그는 “김태우 행정요원은 임용 초기 경고조치를 받았음에도 뇌물죄로 수사를 받고 있는 스폰서와의 유착이라는 심각한 비위가 발각됐다”며 “김 행정요원은 자신의 징계처분이 확실시되자 정당한 업무처리를 왜곡하고 정치쟁점화하며 희대의 농간을 부리고 있다”고 말했다.
조 수석은 청와대가 민간인을 사찰하고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단언컨대 문재인정부는 민간인을 사찰하거나 블랙리스트를 만들지 않았다. 애초 정치적 반대자에 대한 사찰을 엄격히 금지했다”며 “핵심은 김태우의 비위행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