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분야별 성평등지수 중 의사결정 분야가 가장 불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점 만점에 29.3점으로 조사 대상 8개 분야 중 점수가 가장 낮았다.
여성가족부는 2017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2011년부터 여가부는 매년 국가와 지역의 성평등 정도를 조사해 발표한다. 국가의 성평등 수준을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지수화한 값인데 분야별로 남녀의 성비 격차를 측정한다. 100점이 성비가 완전 평등한 상태라면 0점의 경우 완전 불평등한 상태다. 조사분야는 ▲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직업훈련 ▲복지 ▲보건 ▲안전 ▲가족 ▲문화정보 등 8개이며 25개 지표로 구성돼있다.
2017년 국가성평등지수는 71.5점, 지역성평등지수는 74.4점을 기록했다. 최근 5년간 국가성평등지수는 68.9점, 69.1점, 69.9점, 70.7점, 71.5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보건 분야는 97.3점으로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게 나왔다. 건강 관련 삶의 질 성별 격차 97.2점, 건강검진 수검률 성비 96.9점, 스트레스 인지율 성비 97.7점 등이다.
반면 의사결정 분야는 29.3점으로 제일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정부의 여성 대표성 제고 노력 덕에 정부위원회 성비, 4급 이상 공무원 성비, 관리자 성비 등은 상승했지만 여전히 다른 분야에 비해 현저히 낮다.
지역별로는 광주, 대구, 대전, 제주지역이 성평등지수 상위지역이었다. 경기, 경북, 전남, 충남 등은 하위지역으로 분류됐다. 특히 서울은 안전분야에서 60.5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