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기해년은 십이지의 열두 번째 동물인 돼지의 해다. 돼지의 해를 맞아 전국에 돼지와 관련한 지명을 알아보니 총 112개였다. 곡창지대가 있는 남쪽 지역에서 돼지 관련 지명을 많이 사용했고 전남이 27곳으로 가장 많았다.
국토지리정보원은 30일 한국지명유래집 등을 참고해 조사한 결과 전국 돼지 관련 지명은 총 112개, 그중 전남이 27개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경남 21개, 전북 16개, 경북 13개로 뒤를 이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주로 우리나라의 남쪽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먹거리가 풍부한 지역에서 가축으로 돼지를 많이 길러 주변의 지명에 돼지가 자주 사용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돼지는 시간으로 해시(오후 9시∼11시), 방향으로는 북서북, 달로는 음력 10월에 해당한다. 한꺼번에 많은 새끼를 낳는 습성 때문에 재물과 다복을 대변하기도 한다.
지명은 전설 등에서 유래했다. 경기 이천시의 저명산(도드람산)은 옛날 병든 홀어머니를 모시던 효자가 절벽에서 약초를 뜯던 중 산돼지 울음소리가 들려 올라가 보니 효자의 몸에 매달았던 밧줄이 바위 모서리에 긁혀 끊어질 지경이 되었음을 보고 돼지울음이 효자를 살렸다고 해서 칭해졌다.
야생동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면서 두려움과 근심의 대상으로 표현되기도 했다. 경북 의성군 ‘도직골’, 경북 문경시 ‘돌마래미’, 강원 삼척시 ‘돗밭골’ 등은 돼지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면서 지명이 만들어졌다.
마을의 형상이 돼지의 일부분과 닮아 지명이 붙여지기도 했다. 충남 보령시 ‘도투머리’, 충남 태안군 ‘둔두리'는 마을 모습이 돼지머리처럼 보여 지명이 만들어졌다.
지명의 위치와 유래 검색, 발간 책자 등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