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보다 3배나 빠른 속도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 보유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이 30%를 초과하면서 부채보유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1년 새 2%가량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8% 이상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30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은행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1637만원으로 1년 전보다 8.1% 늘었다.
이에 반해 부채 보유 가구의 지난해 처분가능소득은 5271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2.7% 증가했다.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부채보유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에 비해 3배가량 빠르게 증가한 셈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도 31.1%로 29.5%였던 1년 전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정부의 대출 총량 규제 정책으로 가계부채 증가세는 지난해부터 둔화세를 탔지만 정작 가계의 빚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2011년 부채 보유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연간 887만원에 불과했지만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가계 빚 부담이 늘었다. 지난해에는 1637만원으로 6년 만에 84.6% 급증했다.
문제는 가계 부채 증가가 계속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영향으로 국내 대출금리 상승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도 최근 발표한 내년 통화신용정책 운용방향에서 “가계부채가 점점 쌓인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 비중도 높아 대출 금리가 상승할 경우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은 늘어날 것”이라며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비은행 대출, 신용대출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한 취약차주의 채무 상환 어려움은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