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지난 10월까지 300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의 월급이 평균 33만5000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300인 미만 사업체 종사자는 17만7000원 오르는 데 그쳤다. 노사간 노조협상이나 반도체 등 일부 업종의 성과급 지급이 영향을 미치면서 사업체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를 더 크게 벌렸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11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1~10월 근로자 1인 당 월평균 명목임금 총액은 336만원으로 전년 동기(318만6000원)보다 5.5% 인상됐다. 기업 규모에 따라 인상폭이 달랐다. 3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530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496만6000원)보다 6.8% 증가했다.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는 300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286만5000원)와 비교해 4.8% 정도 인상됐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각각 33만5000원, 17만7000원의 임금이 증가했다.
지난해의 경우와 대비된다. 지난해 1~10월과 같은 경우 300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의 명목임금은 전년 동기보다 4만7000원밖에 오르지 않았다.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에서는 13만원이 올랐다.
차이가 역전된 이유로는 임금협상과 성과급이 꼽힌다. 자동차 분야에서 노사가 임금협상을 타결한 점이 눈에 띈다. 올 1분기와 지난 7~8월에 임금협상 타결금이 지급됐다. 반도체와 석유·화학, 항공운송, 금융보험업 분야의 약진도 한 몫 했다. 지난해 실적 호조가 반영된 경영성과급이 지난 3월 지급됐다.
임금은 늘었지만 근로시간은 다소 줄었다. 1~10월 사이 근로자 1인 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3.3시간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65.5시간)와 비교해 2.2시간 정도 줄었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전년 동기보다 1.1시간 정도 근무시간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부터 주 52시간 근로시간이 적용되면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전체 근로자 수는 지난달 기준으로 1800만800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월(1768만4000명)보다 32만4000명(1.8%)이 증가했다. 사업체노동력조사에서 고용 부문 조사를 개시한 2009년 6월 이후 1800만명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다만 고용 상황이 나아졌다고 예단하기는 이르다. 사업체노동력조사는 통계청이 실시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보다 포괄 범위기 적은 편이다. 농업인 등 일부 직종은 포함되지 않는다. 고용부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조사 대비 85.1% 정도 수준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