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혁 북한 철도성 부상이 착공사에서 ‘통일연방’을 거론한 것으로 보도되자 남측 당국이 뒤늦게 정정하는 일이 발생했다.
김 부상은 개성 판문역에서 열린 남북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에서 착공사를 했다. 협소한 취재 환경을 고려해 구성된 공동취재단은 김 부상이 “남의 눈치를 보며 휘청거려서는 어느 때 가서도 민족이 원하는 통일연방을 실현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고, 이는 상당수 언론에 그대로 보도됐다. ‘통일연방’은 북측이 주장하는 ‘고려연방제’를 연상시키는 발언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그러자 통일부는 27일 오전 김 부상의 착공사 발언이 “남의 눈치를 보며 주춤거려서는 어느 때 가서도 민족의 뜨거운 통일열망을 실현할 수 없다”는 내용이라고 공지하면서 착공사 전문을 배포했다.
앞서 공동취재단은 착공식 현장에서 소음으로 정확한 발언을 확인하기 어려워 당국에 정확한 착공사 내용 제공을 요청했으나 받지 못했다. 통일부는 그러나 이후 북측으로부터 착공사 내용을 전달받았지만 이날 오전에야 정확한 발언 내용을 언론에 배포했다.
통일부는 김 부상의 착공사는 남북이 축사 등을 교환한 관례에 따라 (남측에) 송부한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서로 크로스체크(중복확인) 할 수 있는 여지들이 있었는데, 잘 안 된 부분이 있었다”며 “서로 조금 더 소통을 잘해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겠다”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