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출범 당시 단단한 지지층이었던 20대 남성 지지율이 곤두박질쳤다. 최근 설문조사에서 ‘반문(反文)’ 정서가 가장 강한 세대는 20대 남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문재인정부가 내놓는 정책에 효용감을 얻지 못하고 있었다. 아울러 박근혜정부 때와 달라진 점을 체감하지 못한다고 했다.
26일 YTN 라디오 ‘이동형의 뉴스 정면승부’에 두경서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 수석부위원장과 김현동 바른미래당 청년대변인이 20대 남성 대표로 출연해 문재인정부 지지율이 떨어진 이유를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잘하고 있는 것 같느냐”는 질문에 두경서 수석부위원장은 “(주변에서) 잘못하고 있다는 얘기가 훨씬 많이 들린다”며 “비단 여성과의 젠더 문제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쌓이고 쌓여 폭발했다”고 말했다. 문재인정부가 다른 세대에 비해 20대 남성 세대에게 덜 집중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현동 청년대변인은 “문 대통령을 원래 좋아하지 않았던 20대 남성의 경우 그 감정이 격해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지지했다가 철회한 친구들은 (다른 당이나 후보를 지지하지 않고) ‘이런 게 정치구나’ 하는 정치에 대한 불신, 무관심, 혐오 등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 청년대변인은 먼저 20대 남성에 국한하지 않고 20대 전 세대가 문재인정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정부에 대한 불신은 국가주의·집단주의 해체와 함께 개인주의가 찾아오면서 빚어낸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김 청년대변인은 ‘위안부’ 합의를 언급하며 설명을 이어나갔다. 박근혜정부가 위안부 합의를 이끌어냈을 때 30대 이상 기성세대와 20대가 분노했던 지점이 서로 달랐다고 했다. 30대의 경우 반일 헤게모니를 바탕으로 어떻게 정부가 일본에 푼돈을 받고 이토록 역사적인 비극을 마무리할 수 있었는지에 분노했다면, 20대의 경우는 한 개인이나 한 여성의 인권을 짓이겨놓은 행위에 대해 개인의 동의 없이 국가가 마음대로 합의하는지 납득할 수 없었다고 했다. 김 청년대변인은 “이 차이는 굉장히 명확하다고 본다”며 “더 이상 국가가 개인을 우선하지 않기 때문에 그 대상이 일본이든, 북한이든, (국가는) 20대들은 신경 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국가가 개인을 우선하지 않는 또 다른 예로 남북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꼽았다. 그는 “문 대통령이 ‘개인의 동의 없는 국가 간 합의는 원천적 무효’라는 말을 했지만 스스로 어겼다”며 “아이스하키 선수들이 반대하는데 (남북 단일팀을) 강행한 것 아니냐. 30~40대에서는 남북 평화를 위해서 개인의 희생이 필요하다는 것이 어느 정도 공감대를 얻을 수 있지만 20대는 전혀 동의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왜 20대 중 특히 남성에게서 문재인정부에 대한 불신이 짙어졌는지 범위를 좁혀 조목조목 설명했다. 김 청년대변인은 “통계를 보면 남성 지지율이 급감했던 시기는 비트코인 규제, 남북 아이스하키 단일팀, 그리고 양심적 병역 거부”라고 지적하며 군 입대 부분에 주목했다. 그는 “군대 같은 경우에도 옛날에는 애국심을 바탕으로 당연히 가야 하는 것이었다면 최근에는 입대가 국가에 의한 폭력이고 기본권을 내놓는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있다”고 전했다. 때문에 성별 간 균열이 발생하고 남성과 여성의 인식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면 새로운 세계가 열릴 줄 알았고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는 세상이 올 줄 알았는데 20대 남성이 봤을 때 양질의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고 불공정함이 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며 “우리는 분명히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가부장적인 행태를 재생산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은데 (사회는 나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두 수석부위원장은 “20대 여성의 경우는 (20대 남성과는 다르게) 리얼미터 조사에서 (문재인정부에)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며 “정책에 대해 효능감이 서로 다른 것 같다”고 전했다. 20대 여성에게 효능감을 주는 정책은 상대적으로 20대 남성에게는 박탈감으로 다가온다는 것이다. 그는 “두 집단의 차이를 두게 되는 것이 단순히 인식 차이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두 수석부위원장은 “확실하고 현실적인 일자리 정책을 포함한 여러 청년 정책을 내놨으면 좋겠다”며 “실제로 집행할 수 있는 별도의 부서를 설립해 일련의 과정을 밟길 원한다”고 전했다.
김 청년대변인은 “개인의 동의 없는 국가 간 합의는 무효라고 외치던, 청와대의 문제는 대통령이 책임져야 한다고 외치던, 결격 사유가 있는 사람은 결코 공직에 임명하지 않겠다던, 국민을 먼저 생각하겠다고 하는 그 시절의 문재인으로 돌아와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