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연구진에 의해 유연하고 투명한 다차원 에너지 소자가 개발됐다.
인천대학교는 차세대 에너지 융합연구소 연구팀이 최근 투명한 다차원 에너지 소자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다차원 에너지 소자는 외형이 변화하면 생기는 전기에너지의 발생이 입사광과의 반응을 통해 증폭된 출력을 나타내는 것을 규명한 것으로 기계적-전기-빛의 다른 에너지 형태를 융합해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 Mohit Kumar 박사 (인천대학교 차세대 에너지 융합연구소 선임연구원)는 플라스틱 기판위에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를 가지는 형태의 ‘유연하고 투명한’ 융합에너지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으며, 에너지 상호 변환에 대한 기반 메카니즘을 확립했다.
김홍식 박사(인천대학교 차세대 에너지 융합연구소 선임연구원)는 빛과 전기 에너지의 효율적인 변환을 일으킬 수 있는 투명 전극에 대한 설계와 연구를 통해 다차원 에너지 변환 소자 구현이 실현될 수 있도록 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이경남씨(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과정)은 투명한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 많은 실험을 통해 최적의 산화물 반도체 증착 조건을 확보하여 소자의 특성 향상에 공헌했다.
김준동 교수(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빛의 입력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증폭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식이 확보된 셈”이라며 “투명하고 유연한 전기·전자·에너지 소자에 새로운 접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Small 지에 온라인 게재되었으며, 국내·외 특허를 준비 중에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