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국내 산지에 방치된 목재로 만든 ‘목재펠릿’의 사용 비중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국산 목재를 활용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26일 산림청에 따르면 국내 목재펠릿 생산업체와 한국남동발전은 지난 6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로 생산된 목재펠릿을 매년 21만5000t씩 3년 간 공급한다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 미이용 목재로 만든 목재펠릿을 발전소 연료로 사용,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핵심이다.
벌채 후 수집비용 때문에 산지에 남겨진 국내 산림바이오매스는 연간 400만㎥에 이른다. 사용되지 않은 산림바이오매스는 산사태나 산불 등 산림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산지에 방치된 산림바이오매스를 발전용 연료로 활용할 경우, 수입에 의존하는 발전용 목재펠릿을 국내산으로 대체해 외화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산림청의 설명이다. 지난해 국내로 수입된 목재펠릿은 총 170만5000여t이었던 반면, 국내에서 생산된 양은 6만7400여t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년에 임도 812㎞를 개설하고 고성능 임업기계 67대를 보급하는 등 산물 수집 기반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목재펠릿의 품질기준을 주거용·소규모 상업용 및 산업용 등 용도별로 구분한다.
산림청은 100만㎥의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발전용으로 활용할 경우 2022년까지 1500개의 일자리 창출과 생산설비 투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벌채 부산물을 산림 밖으로 반출 가능해 산불과 같은 산림재해를 예방할 수 있고, 조림·풀베기 등의 산림사업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종호 산림청 차장은 “국산 목재를 이용한 전기 생산은 그동안 이용하지 않은 벌채부산물과 숲가꾸기 산물을 활용한다”며 “산물 수집을 위한 임도 등 기반시설도 확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