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김정은 서울 답방 약속 지켜질 것”

입력 2018-12-21 17:28 수정 2018-12-21 17:34

청와대는 2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과 관련, “김 위원장이 가까운 시일 내에 서울에 오기로 합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 약속은 지켜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 답방은) 연내는 물리적으로 시간이 없어서 어려워진 것 같다. 하지만 그 약속은 지켜질 것”이라며 “남북 간 여러 가지 협의들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북측에 아무 때고 당신들이 준비되면 오라고 전달했다”며 “다만 우리는 당신들과 체제가 달라서 준비 기간이 길 수밖에 없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남북 정상은 지난 9월 평양 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에 합의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남북 간에 합의한) 날짜에 맞춰서 답방이 이행이 안 됐으나 그것이 큰 합의의 기본 틀을 무너뜨린 것은 아니다”며 “김 위원장 답방도 평양공동선언에는 ‘가까운 시일 내에’라고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정부 입장은 서두르지 않고, 북을 재촉하지 않고 편안한 시기에 언제든, 그러나 평양회담 합의처럼 가급적 가까운 시기에 답방을 한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북측에 답방과 관련한 아무 조건도 걸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위원장 답방은)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며 “그렇기에 조금만 더 두고 보자. 거듭 말하지만 약속은 지켜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 답방과 별개로 올 한해 남북 관계 개선과 한·미 공조 강화 등 외교적 성과가 크다고 자평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는 이제 돌이킬 수 없는 단계로 진입하기 시작했다”며 “이제 북한도 이 과정을 되돌릴 수 없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북·미 대화 교착으로 한반도 비핵화 논의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올 한해 이룬 남북 관계 개선 노력이 큰 의미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정 실장은 “금년은 한 마디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새로운 원년이었다 평가한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를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했는데, 그 약속이 어느 정도 이뤄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65년 동안의 적대적 관계가 사실상 종식 단계에 접어들었다. 우리 정부는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협을 없앴다”며 “이런 합의를 바탕으로 새 남북관계가 정립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정 실장은 “평양 9.19 공동선언 발표장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측 지도자로는 처음 육성으로 한반도를 핵무기와 핵 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며 “이런 모든 변화들은 지난해에는 차마 상상조차 못하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그러면서 남북 간 상호 비방을 위해 군사분계선(MDL)에 설치한 확성기 철거, 개성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검증작업 등을 “엄청난 역사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정 실장은 “이런 조치를 통해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을 평화적 방향으로 진화시켜나가는 과정이 시작됐다고 본다. 남북관계는 전면적으로 복원됐고, 정상회담은 사실상 정례화 됐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남북 관계뿐 아니라 한·미 공조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 실장은 이날 청와대에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만나 한반도 정세를 논의했다.

김의겸 대변인은 면담 종료 이후 서면 브리핑에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만나 비핵화 문제 및 인도적 지원을 포함한 대북협력사업 추진 방안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한·미 간 공조를 더욱 긴밀히 지속해 가기로 하였다”고 설명했다. 정 실장과 비건 대표는 북·미 간 비핵화 후속 협상의 교착상태 지속에 따른 대응 방안 등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