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기업의 절반이 내년도 경기가 올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제조업종은 10개 중 6개 기업이 부정적 전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1.1%가 내년도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고 19일 밝혔다. 조사는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실시됐고 176개사가 응답했다.
올해와 경기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4.3%, 올해보다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제조업 기업들은 59.8%가 내년도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연초에 세웠던 목표 대비 매출 실적에 대해서는 34.7%의 기업이 부진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초과 달성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11.9%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목표 대비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는 응답이 40.2%로 가장 높았고, 운수업(36.4%)과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6.4%)이 뒤를 이었다.
올해 경영상 겪은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이었는지 묻는 질문에는 ‘경기불황으로 인한 내수부진’이라는 응답이 절반 이상(53.4%)을 차지했고,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위축(20.5%)’과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정책(14.2%)’ 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내년도에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할 경영전략으로 ‘기존사업 및 신사업 투자 확대(28.4%)’와 ‘재무안정성 관리(25.6%)’를 1·2순위로 꼽았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투자 확대(14.3%)보다는 재무안정성 관리(42.9%)에 더 역점을 두고, 제조업은 투자 확대(31.0%)에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내년도 정부의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중점 추진 정책으로 ‘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30.2%)’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노동 유연성 확대 및 임금 안정화(26.1%)’ 와 ‘환율 및 금리 안정화(21.6%)’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제조업은 ‘노동 유연성 확대 및 임금 안정화’를 1순위로 응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최근 제조업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커지는 등 일자리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들의 경기 전망마저 어두워 우려스럽다”며 “그런데도 기업들이 내년도 경영전략으로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규제 완화 등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환경을 조성해 주길 기대한다”고 제언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