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하예항·함덕항·비양도항 ‘어촌뉴딜 300’ 사업 본격 추진

입력 2018-12-19 15:28
제주 서귀포시 하예항과 제주시 함덕항·비양도항에 대한 해양관광 활성화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제주도는 해양수산부의 ‘어촌뉴딜300사업’에 서귀포시 하예항과 제주시 함덕항·비양도항이 선정됨에 따라 내년부터 낙후된 선착장 등 어촌의 필수 기반시설을 현대화하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어촌·어항 통합개발에 착수한다고 19일 밝혔다.

‘어촌뉴딜300사업’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022년까지 국비를 투입, 낙후된 소규모 어촌의 항·포구를 어촌이 보유한 핵심자원을 활용해 정비하고 어업인들의 어로활동과 생활편의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사업지 선정에 따라 서귀포시 하예항 일원에는 2년간 총 116억 3400만원이 투입돼 방파제 외곽시설·안전시설이 보강되고, 어업인 복지회관 및 마리나·해양레저체험공간, 테마공원, 등대 탐방로, 어촌·어항재생센터 등이 갖춰진다.

제주시 함덕항·비양도항에는 각각 90억원과 64억원이 투자돼 어촌의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제주의 풍부한 해양관광자원을 발굴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시행된다.

함덕항에는 서우봉∼함덕해수욕장∼함덕포구∼마을어장으로 이어지는 대규모 해양관광벨트가 구축되며, 통합 포구 디자인에 관광객 안전 인프라까지 더해지는 개발사업이 진행된다.

‘국민 휴양형 사계절 휴양도’ 조성을 목표로 한 비양도항에는 캠핑장·유원지 등 섬 전체를 테마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어촌뉴딜300사업’ 1차 사업지 선정을 위해 지난 2월 수요조사를 시작으로 9월 공모를 진행한 뒤 서면평가·현장평가·최종평가 등 3단계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에서는 사업계획의 적정성, 여객선 기항지, 재정자립도, 고용·산업 위기지역 등 사회·경제적 특수성과 사업추진 여건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됐다.

도는 내년 상반기 사업 대상지 사업설계를 거친 뒤 선착장 보강·대합실 마련 등 단기에 완료할 수 있는 사업을 먼저 집행해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어촌뉴딜300사업’은 국가 균형발전을 실현하고 지역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확대하는 국가적 사업”이라며 “제주지역의 해양관광자원을 최대한 개발해 어촌지역의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고 자립적 지역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