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9일 발표한 3기 신도시 지역들은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들이다. 서울 경계에서 2㎞ 떨어져 위치한 경기 남양주와 하남, 인천 계양, 경기 과천이 포함됐다.
정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신설 등을 통해 이들 지역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기업과 문화시설을 적극 유치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도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키운다는 목표를 세웠다.
◇서울 도심 30분 내 출퇴근 가능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3기 신도시 면적은 경기 남양주 왕숙지구 1134만㎡를 비롯해 하남 교산지구 649만㎡, 인천 계양지구 335만㎡ 규모다. 공공택지 조성으로 논란이 일었던 과천에도 155만㎡의 택지가 들어선다. 또 서울 도심 국공유지와 부천 역곡 등에 있는 장기미집행 공원부지(도시공원으로 결정됐지만 재원 부족으로 방치된 땅) 등을 활용해 중소규모 택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주택공급 목표는 총 15만5000호(신도시 4곳 12만2000호, 중소도시 37곳 3만3000호)다.
3기 신도시의 특징은 서울과 1기 신도시(일산·분당) 사이 지역 가운데 반경 2㎞ 이내 ‘서울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선정했다는 점이다. 정부는 이들 지역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TX 등 광역교통망 축을 중심으로 신규 택지를 개발키로 했다. 남양주 왕숙지구는 GTX B 노선이 신설될 경우 서울역까지 출퇴근 시간이 1시간30분에서 15분으로 단축된다. 하남 교산지구도 지하철 3호선 연장선과 GTX B노선 신설 지역에 위치해있고, 과천 지구는 GTX C노선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정부는 기존보다 배가 많은 광역교통개선부담금을 투입해 신도시 입주보다 2년 먼저 교통대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서울 도심까지 30분 안에 출퇴근이 가능한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업 및 문화시설 유치로 자족도시 기능 강화
정부가 특히 방점을 찍은 것은 3기 신도시가 자족도시로 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자리가 풍부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가 되도록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핵심 과제다.
남양주 왕숙지구의 경우 1지구는 경제중심지구, 2지구는 문화중심지구로 나눠 개발될 예정이다. 1지구에는 스마트그리드 등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창업컨설팅 교육을 담당하는 지원허브를 구축해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2지구에는 청년층을 위한 문화공간과 테마가 있는 문화거리 등을 조성해 도시 활력을 높인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하남 교산지역의 경우 남한산성 등 문화재와 연계한 한옥마을이 조성되고, 백제문화박물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지구 내 덕풍천과 연계해 친환경 주거단지를 만들 계획이다. 하남시는 첨단기업과 4차 산업 스타트업이 공존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인천 계양지구에서는 계양테크노밸리가 조기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인근의 산업단지와 연계해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개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종합문화복지센터와 예비창업 마을을 조성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과천 지구에서는 지하철 4호선 선바위·경마공원·대공원 역 주변에 개발용지를 집중 배치한다. 서울대공원, 국립과천과학관과 연계해 복합쇼핑테마파크가 들어설 예정이다.
김 장관은 “그간 대규모 택지개발의 고질적 문제가 됐던 교통과 일자리, 육아 등의 인프라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설계했다”며 “사업이 종료될 때까지 지역과 적극 소통해 지역 맞춤형 개발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