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기도 남양주와 하남, 과천, 인천 계양에 ‘3기 신도시’를 조성한다. 대규모 신도시(330만㎡ 이상) 3곳과 100만㎡ 급 ‘미니 신도시’ 1곳을 조성해 부동산가격 안정세를 유지하고 장기적인 수도권 주택공급난에 대비한다는 취지다. 이들 4곳에만 12만200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정부는 내년 하반기 지구지정 후 2021년부터 주택을 공급한다.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 등에 방치되고 있는 유휴부지를 활용해 중소규모 공공택지도 개발한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국토부는 100만㎡ 이상 규모 대규모 택지 개발 지구로 남양주 왕숙 지구, 하남 교산 지구, 인천 계양 테크노 밸리, 과천 과천동 일원을 선정했다. 신도시 면적은 남양주가 1134만㎡, 하남은 649만㎡, 인천 계양은 335만㎡, 과천 155만㎡이다. 앞서 조성된 위례신도시는 677만㎡이었던 데 비교하면 남양주와 하남, 인천 계양은 대규모, 과천은 중규모 급이다.
국토부는 서울 도심과의 교통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입지를 선정했다고 설명한다. 이들 지역은 서울 경계로부터 2㎞ 정도 떨어진 곳으로 서울 도심까지 약 30분 내로 출퇴근할 수 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신도시 후보지 4곳은 서울과 1기 신도시 사이로 서울과 매우 가까운 곳이다. GTX 등 광역 교통망을 충분히 갖춰 서울로 출퇴근할 수 있는 도시로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3기 신도시를 ‘자족형 도시’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신도시 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시형 공장, 벤처기업 시설 등이 입지할 수 있는 도시지원시설용지를 확보한다. 전체 주택용지의 3분의 2 규모다. 또 지구 내 유치원을 100% 국공립으로 설치하고 복합 커뮤니티센터·도서관 등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도 강화해 ‘친육아 도시’로 조성한다.
국토부는 또 도심 국공유지, 군 유휴지 등을 활용해 3만3000가구 규모의 중소규모 택지도 조성한다. 장기적으로 집행되지 않고 있는 공원부지 4곳을 활용해 1만2400가구를 공급하고, 군 유휴부지 4곳을 활용해 2400가구를 공급한다. 또 도심 국공유지 17곳에 1만4600가구, 공공시설 복합화 사업을 통해 500가구를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3기 신도시 후보지 주민공람을 이날 시작했다.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2019년 하반기 지구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2020년 지구계획을 수립하고 2021년부터 주택공급을 시작한다. 소규모 택지는 2019년부터 주택사업 승인 등 절차를 진행해 2020년 주택공급을 시작할 방침이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
안정세 찾아가는 부동산시장에 ‘쐐기’ 박는다…남양주·하남·인천 계양·과천에 ‘3기 신도시’ 조성
입력 2018-12-19 13:39 수정 2018-12-19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