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병원장 한종인)이 장기이식술의 꽃으으로 통하는 심장이식 수술이 가능한 병원그룹에 합류했다.
이대목동병원은 흉부외과 서동만(사진 왼쪽 두번째), 박정준(오른쪽 끝), 순환기내과 김경진(오른쪽 두번째) 교수팀이 지난 달 초 급성 심근경색으로 중환자실서 집중 치료를 받아온 황모(56·왼쪽 4번째) 씨를 대상으로 심장이식수술을 시행, 새 생명을 안겨주는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황 씨는 그간 첫 심근경색 발병 후 응급실에서 심혈관 중재시술을 받은 뒤 중환자실서 에크모(ECMO: 혈액 내 산소를 주입 한 뒤 펌프를 이용해 전신 순환을 이루어주는 장치)를 이용한 집중치료를 받으며 생명을 어렵사리 이어오다 이식 수술을 받기까지 두 번이나 마음을 졸여야 했다.
첫 번째 공여자가 나타났지만 그와 체격 차이가 커 수술 후 위험성이 높아 포기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 후 황 씨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의료진과 가족이 긴장하던 중 때마침 황 씨와 체격 조건이 잘 맞는 두 번째 공여자가 나타나 가슴을 쓸어내렸다.
김 교수는 “황 씨는 에크모를 거치하고 있는 위험도가 높은 환자인 만큼 건강한 상태의 심장 이식을 받는 게 중요했다”면서 “다행히 위급한 순간에 나타난 두 번째 공여자는 황 씨와 체격 조건이 잘 맞았고 활력 징후가 안정적이어서 흉부외과와 긴밀하게 상의한 후 이식을 받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황 씨의 심장 이식 수술이 결정된 후 흉부외과 서동만 교수를 중심으로 한 이대목동병원 심장이식팀은 곧바로 수술 준비에 들어갔다.
모든 이식 수술 환자는 장기 거부 반응을 줄이기 위해 면역력을 매우 낮은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이대목동병원 의료진은 수술 준비 과정에서 무엇보다 안전에 초점을 두었다.
중환자실 내에 황 씨를 위한 격리 병실을 만들고 철저한 소독 후 황 씨가 심장 이식 수술을 받고 다시 돌아오기 전까지 직원들의 출입을 삼가면서 면역력이 급격히 떨어질 환자 상태에 맞춰 감염 관리에 온 힘을 기울였다.
마침내 지난 달 12일, 공여자의 장기를 적출하기 시작했다는 소식과 함께 황 씨도 곧바로 이식수술 준비에 돌입했다. 이어 공여자의 건강한 심장은 서동만 교수의 집도로 무사히 황 씨의 가슴 속에 앉혀졌다.
에크모 등 많은 생명 유지 장치를 달고 수술실로 들어간 황 씨는 어떠한 장치도 하지 않은 채 중환자실로 다시 돌아왔고, 빠르게 호전되어 일주일 만에 일반 병실로 옮길 수 있었다.
황 씨는 급성심근경색으로 응급실로 실려 온 지 50여일 만인 13일 건강을 회복, 퇴원했다. 황씨가 건강한 심장을 갖고 집으로 돌아가는 날, 첫 심장 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이룬 의료진도, 당장 내일 생사 여부를 알 수 없어 마음을 졸이던 가족들도 모두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
서 교수는 “앞으로 면역 억제제를 평생 복용해야 하는 등 쉽지 않은 여정이 많이 남아 있지만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된 것이 큰 축복” 이라면서 “이번 수술은 황 씨의 삶이 한 단계 나아지는 것뿐만 아니라 이대목동병원의 의료 수준도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이대목동병원, 첫 심장 이식 수술 성공
입력 2018-12-14 11:18 수정 2018-12-14 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