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러스트 벨트’ 되살리기 행보

입력 2018-12-13 18:06

문재인 대통령이 연일 한국판 ‘러스트 벨트’(Rust Belt·쇠락한 공장지대) 되살리기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답방 등 외교안보 현안이 내년으로 밀리면서 국내 경제 다잡기에 나선 모양새다. 낙후된 지방 제조업과 중소기업을 중점 육성해 경제 난국을 타개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13일 경남 창원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 참석해 “제조업은 대한민국 경제의 근간이자 국민의 일터”라며 “지금 우리 경제가 어려운 이유도 제조업에서 활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다. 제조업에 혁신이 일어나야 대한민국 경제가 산다”고 강조했다. 이어 “혁신성장과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제조혁신은 더 이상 미룰 수도, 피할 수도 없는 과제”라며 “제조혁신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제조업 강국으로 재도약할 때”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제조업 생산액과 부가가치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이 살아야 대기업이 함께 살고, 국가 경제가 살아난다”며 중소기업의 중요성도 함께 언급했다. 중소기업의 혁신을 위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해야 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구상이다. 중소벤처기업부 등은 이날 2022년까지 2조3000억원을 들여 스마트 공장 3만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6만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내용의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경남 지역은 조산·자동차 등 침체기를 맞은 제조산업의 근거지다. 대통령의 경남 방문은 ‘이영자'(20대·영남·자영업자에서 지지율 하락)현상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경남 민심을 달래고, 지역 산업 혁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행사에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김경수 경남지사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전국 경제투어’ 명목으로 지방을 찾은 건 이번이 세 번째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월 GM 공장 폐쇄로 피해를 입은 전북 군산을 방문해 “2022년까지 새만금에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풍력 발전단지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지난달엔 경북 포항의 포스텍 연구소를 찾아 “경북 신도시와 국가산업단지를 아우르는 혁신클러스터를 지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역 전통의 제조업을 되살리면 서비스업이 살아나고, 일자리도 늘어난다”며 “중앙 중심의 산업 육성으론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어렵다는 게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조선업 활력 제고방안’을 발표한 정부는 곧 ‘자동차 부품산업 지원대책’ 등 지역 경제 지원책을 추가로 내놓을 계획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