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내년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독립정신 계승을 위한 기념사업을 추진한다.
13일 세종시에 따르면 지난 4월 ‘3.1운동 및 임정수립 100주년 추진위원회 TF’를 발족한 시는 중앙부처 제안 54건, 시민 제안 82건 등 총 152개 사업에 대한 실행방안을 검토하고, 지역 내 3·1운동 및 임시정부 관련 자료를 정리하는 기록화 사업을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상징물 조성(8개 과제), 학술전시(7개 과제), 기념·문화(7개 과제), 시민·교육·홍보(10개 과제) 등 4대 분야 32개 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우선 ‘상징물 조성’ 분야의 경우 보훈처와 협력해 2021년까지 ‘국가상징공원’을 조성한다. 독립유공자를 예우를 위한 방안으로는 독립유공자 묘소 안내판과 3·1운동 유적지 표석 설치, 독립유공자·국가유공자 3300여명 문패 달아주기 사업 등이 실시될 방침이다.
‘학술·전시’ 분야는 세종시교육청과 함께 3·1운동과 임정수립 100년의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사료 발표와 토론, 서적 발간, 교육자료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3·1운동 관련 판결문과 일제강점기 자료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3·1운동~세종시 탄생까지의 기록물을 모은 전시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기념·문화’ 분야 사업의 일환으로 3·1절 기념식 개최, 지역 내 역사적 사건을 재현하는 행사도 마련될 예정이다. 시는 특히 나라꽃무궁화축제, 전국마라톤대회 등 각종 축제와 문화공연에도 기념 메시지를 담아 100주년에 담긴 의미를 널리 알린다는 복안이다.
이밖에 ‘시민 교육·홍보’ 분야의 경우 시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 탐방 및 독립운동 체험 교육, 3·1운동 독립유공자 후손들 간 네트워크 구축 사업 등이 중점 추진될 전망이다.
세종지역 3·1운동은 농민들의 주도로 타 지역과 연합, 만세운동이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된 것이 특징이다. 만세운동은 3월13일 시작해 4월20일까지 39일간 진행됐으며 주요 유적지는 전의면 갈정리 고개, 금남면 대평리시장 등 17곳이다.
세종시 관계자는 “시민 80명으로 구성된 100주년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꼼꼼하게 사업을 진행하겠다”며 “각종 기념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