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을 대상으로 진행된 미국 하원 청문회에서 구글의 ‘반트럼프·반보수 편향’ 논란을 두고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 및 구글 최고경영자(CEO) 순다르 피차이가 갑론을박을 벌였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민주당 조 로프그런(캘리포니아) 의원이 구글에서 ‘바보(idiot)’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이 뜨는 이유에 대해 피차이에게 질의한 내용을 1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로프그런 의원은 청문회장에서 구글의 이미지 검색창에 바보라는 글자를 입력했다. 검색 결과, 대부분 트럼프 대통령 사진으로 채워진 페이지가 나타났다. 검색 작업 원리에 대해 피차이에게 묻자 “알고리즘은 연관성, 인기 그리고 다른 사람이 검색어를 이용하는 방법 등 200여개 요소들을 고려해 가장 적합한 결과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라마 스미스(텍사스) 공화당 의원은 피차이에게 “직원들한테 검색 결과를 조작하라고 지시한 적이 있냐”고 물었다. 이에 피차이는 “너무 많은 단계가 있어서 검색어 조작은 불가능하다”고 답변했다.
같은 당 스티브 샤벗(오하이오) 의원도 가세했다. 샤벗 의원은 자신이 공화당의 의료서비스 법안이나 공화당의 감세안을 구글에서 검색했을 때 첫 몇 페이지에 부정적 기사들이 올라온다고 불평했다.
그는 “보수적 관점이나 보수적 정책에 반대하는 구글의 분명한 편향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라고 물었고, 피차이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구글 알고리즘은 정치적 정서에 대한 개념이 없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의 한 의원이 구글 검색에 대해 불평을 갖는 공화당 의원에게 “긍정적인 검색 결과를 원한다면 긍정적인 일을 하라”라고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김나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