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전문의 60%가 수도권에 집중돼 지방 중소도시에는 정신과 전문의의 상담 및 자문이 이뤄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교육부가 윤석이처럼 정서·심리적으로 불안한 소외지역 학생을 위한 위(Wee)닥터 서비스를 내년 도입한다.
교육부는 13일 서울 광화문 인근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본사에서 전남교육청,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사)열린의사회와 함께 원격 화상 자문 위닥터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 위닥터는 정신과 전문의와 위기 학생의 학부모·교사·상담교사를 화상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다.
전문의가 원격으로 위기학생의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에 따라 현지 병원치료를 연계해주거나 지속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교육부는 우선 위센터 100개소로부터 지원을 받아 시범 운영하고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부와 전남교육청은 사업을 총괄 추진하고,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화상 자문 서비스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술 지원을 한다. 열린의사회는 자문의와 시스템 운영 및 위센터 교육 등을 포함한 사업 운영을 담당한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학생들이 정서·심리적 측면에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학교 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 위닥터 사업 통해 전국의 학생들과 학부모, 교사, 상담자 모두가 전문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사공정규 동국대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대한민국 어디에 살든지 우리 청소년에게 지역의 편중 없이 힐링과 행복의 지혜를 전달해야 한다. 정신건강의학 전문의로서 사명감과 소명감으로 열과 성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