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국회의장이 1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울에 답방해 국회 연설을 희망한다면 적극 돕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의장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이 국회 연설을 희망한다면 국회의장으로서 연설 기회가 생기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에 대해서는 “아주 총명하고 잘하리라 생각한다. 연설을 하고 싶어할 것이고 나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대통령도 평양에서 15만 군중 앞에서 연설을 했다”며 “의전적 절차도 그렇고 균형을 잡는 의미에서도 그렇고 최소한 국회에서 연설할 기회를 줘야한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묻는 질문에 문 의장은 “정상 간 외교에서 순방 날짜가 코 앞에서 정해지는 것을 흔히 봤다. (방문이 임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17일~25일에 중동 3개국 방문계획이 있는데 그 전에 그분(김 위원장)이 온다면 돌아온다는 전제 하에 나간다”고 덧붙였다.
한편 답보상태에 놓인 남북 국회회담 추진에 대해 문 의장은 “포기하지 않았다”면서도 “남북 정상이 다섯 달 안에 세 번(이나) 만나는 상황에서 국회 회담이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거나 중간 역할을 하지 않아도 돼 옛날처럼 서두르거나 재촉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설명했다. 판문점선언 비준동의안에 대해서는 “국회가 포기한 것은 아니다. 비준동의를 위해 의장으로서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의장은 북한 인권 문제를 지적하는 질문에 “북한은 언젠가는 평화 교류 협력의 대상으로 전쟁 속에서 인권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면서 “생존에 앞서 인권을 주장하는 것은 적절한 대응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평화가 곧 인권의 시작이며 생존 자체로서 인도적 도움을 주는 교류, 그 이상 가는 인권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가 10일 ‘인권 침해’를 이유로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급 인사 3인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것에 대해서는 “이 문제로 남·북, 북·미 관계에 큰 흐름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문 의장은 일본과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 “과거는 과거이고, 미래는 미래”라면서도 “과거에 얽매여 미래로 나아가지 못하는 건 어리석은 일이지만 미래로 나아가려고 과거를 어물쩍 덮는 것은 더 어리석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근혜정권의 위안부 합의자체는 합의로서 인정하지만 가장 근본적 문제는 해결의 주체가 잘못됐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할머니에 대한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만 있으면 치유재단 10억 엔이 문제가 아니다. 단 한 푼 없어도 해결되는 문제”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에 대해서는 “낙담할 단계는 아니다”면서 “청와대가 이것(지지율 하락) 때문에 사기가 죽어서 할 일 못하면 안 된다. 경제의 경우 고칠 건 과감히 고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