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진 광주테크노파크 원장, 우병우 전 청와대 수석 상대로 민사소송 제기.

입력 2018-12-11 15:47 수정 2018-12-11 15:51

김성진(55) 광주테크노 원장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고 11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재직 때 산업스파이 누명을 쓰고 사표를 제출하도록 강요받았다는 것이다.

지난달 취임한 김 원장은 “2016년 산자부 지역경제정책관에 이어 대변인으로 근무하던 시기에 국정원 직원 3명의 호출을 받고 서울 한 호텔에서 ‘방첩활동’ 혐의로 조사를 받은 뒤 사직을 종용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청와대 핵심이던 우 전 수석이 당시 주형환 장관에게 사표를 받으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 주 전 장관의 진술이나 구체적 증거가 확보되면 우 전 수석을 상대로 형사고발도 병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 2005년을 전후해 산업기밀을 중국에 유출한 산업스파이라는 누명을 썼지만 조직보호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사표를 제출했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그동안 강제사직의 억울함에 청각장애까지 앓았다며 명예회복을 위해 지난 6월 2000만원의 민사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한·중 FTA 과정에서 국정원이 ‘요주의 인물’로 분류한 중국인사와 접촉하고 그가 몸담은 현지 연구소를 방문한 게 발단이 된 것으로 짐작했다.

그는 “손해배상 청구는 돈을 받으려는 목적이 아니라 명예 회복 차원”이라며 “국가를 위해 봉사한 공무원에게 무작정 ‘산업스파이’란 올가미를 씌우는 일이 반복되는 것을 막아야 된다는 생각에 용기를 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날 “억울함을 풀기 위해 지난 6월 광주지법에 소송을 제기했다가 서울에서 재판받겠다는 우병우 측의 요청이 받아들여져 서울지법으로 넘겨졌다”며 “현재 진행 중인 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언론보도는 자제해주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원장은 자신에게 산업스파이라는 누명을 뒤집어 씌운 구체적 이유를 지금도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사직 이후 국회정보위 소속 모 국회의원을 만나 사직 과정을 설명한 뒤 도움을 청했는데 “엮였다”는 답변만 들었다는 것이다. 그는 또 국가인권위원회에 직권조사를 요청하고 국정원에도 재조사를 요구했으나 국가기밀이라는 이유로 지금까지 응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우 전 수석은 같은 해 당시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문체부 공무원 7명을 좌천성 인사를 통해 다른 부서로 발령 내도록 한 혐의가 드러나 현재 재판을 받고 있다. 국정농단을 한 최순실씨 등의 문화·체육분야 사업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라는 정황이 드러나기도 했다.

전남 고흥 출신인 김 원장은 산업자원부에서 중국 전문가로 통했다. 행정고시 33기로 산자부 중국담당 과장을 거쳐 중국에 2년간 파견근무를 했다.

영국 리즈대에서 중국관련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김 원장은 “호남출신으로 예산배정에 편파적이라는 오해를 받은 게 아닌지 싶다”며 “분명한 것은 미운털이 박혔기 때문에 강제사직을 강요받았다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만일 산업스파이라도 해도 검찰수사를 요청하거나 정당한 징계위 절차를 거쳐 사직서를 내야하는 게 정상이지만 그 같은 절차가 생략됐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2016년 6월 공직에서 돌연 퇴직해 그 배경에 의문이 제기됐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