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측근이자 북한의 2인자로 알려진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대북 제제 대상으로 지정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고위급 회담이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일종의 압박 조치로 분석된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관리국(OFAC)은 현지시간으로 10일 성명서를 통해 최 부위원장을 비롯해 정경택 국가보위상, 박광호 노동당 부위원장 겸 선전선동부장을 북한 제재 및 정책추진법에 따라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다고 발표했다.
최 부위원장은 김정은 위원장의 최측근으로 공식 권력 서열 3위지만 시실상 2인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미국 재무부도 최 부위원장에 대해 당과 정부, 군을 통솔하는 북한의 2인자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미 재무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북한의 야만적인 검열행위와 인권침해 등을 자행하는 부서를 지휘하는 고위 관료들을 제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미국은 인권과 기본적 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 행위에 대해 북한 정권을 규탄해왔다”면서 “앞으로도 전 세계 인권을 침해하는 이들에 대해 조치를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 대통령 행정명령 13687호에 따라 내려진 이번 제재는 2016년 김 위원장을 시작으로 지난해 1월과 10월에 이어 4번째다. 제재대상에 이름을 올리면 미국 내 자신이 동결되고 미국인 및 미국 기업과 거래할 수 없다.
이번 제재는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인데다 미국이 내년 초 예상하는 2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고위급 회담에 북한이 호응하지 않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