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출범한 카카오 카풀이 택시업계의 ‘호출 거부’ 암초에 부딪혔다. 이밖에도 경쟁사들과 경쟁, 승차공유 업체 간 이견 조율, 카풀 안전 우려 불식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카카오의 교통 분야 자회사 카카오 모빌리티는 7일 일부 제한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카풀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매일 이용 가능 승객을 조금씩 늘려 17일부터는 정식 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다.
요금은 택시의 70~80% 수준이다. 기본요금은 첫 2㎞까지 3000원이고 이동 시간과 거리에 따라 요금이 추가된다. 심야나 출퇴근 시간처럼 택시가 부족한 시간대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논란이 됐던 운행자의 운행 횟수는 하루 2회로 제한했다. 다만 ‘오전 6~10시’ ‘밤 11시 이후’처럼 시간에 구애받지는 않는다. 탑승자는 이용 횟수에 제한이 없다.
그동안 카카오와 택시업계는 카풀 서비스 상용화를 두고 대치해왔다. 카카오는 카풀 서비스가 택시 부족 및 승차거부 문제 등을 보완해줄 서비스라며 카풀 도입을 추진했지만, 택시업계는 카풀 서비스가 택시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카풀 도입 전까지 카카오 택시의 동반자였던 카카오·택시업계가 카풀서비스를 놓고 갈등을 빚은 것이다.
카카오는 택시업계 달래기에 나섰다. 정주환 카카오 모빌리티 대표는 시범서비스를 시작하며 “아직은 더 많은 논의도 필요하겠지만, 이번 베타의 시작으로 많은 오해들이 풀렸으면 한다”고 SNS에 썼다.
하지만 택시업계는 즉각 반발했다. 택시 4단체는 “17일 정식 카풀 서비스 출시 취소를 요구한다”며 “카카오택시 호출거부 운동에 돌입한다”며 엄포를 놨다.
카카오와 택시업계를 중재해온 정치권도 난처해했다.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TF) 위원장 전현희 의원은 “사회적 대타협을 만들어내려고 대화를 진행해왔는데, 난감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쟁사들과의 점유율 경쟁도 카카오가 신경쓰이는 부분이다. 카카오 택시는 SK텔레콤의 택시호출 서비스 ‘티맵택시’에 쫓기는 입장이다. SK텔레콤은 지난달 카카오·택시업계 갈등이 고조된 틈을 공략해 택시기사 확보 등에서 성과를 냈다. 앞으로도 티맵택시 이용자와 가입 택시기사를 상대로 물량공세를 펼 전망이다. SK텔레콤과 주요 택시 단체가 손잡고 카카오 택시에 대적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반면 카풀 분야에서는 카카오가 추격에 나서야 한다. 앞서 비슷한 서비스를 상용화한 쏘카의 승차공유 자회사 VCNC의 ‘타다’와 카풀 1세대 스타트업 풀러스의 카풀 서비스 등이 경쟁 서비스다. 카카오는 2000만명이 넘는 카카오택시 가입자를 앞세워 카풀 육성에 나설 전망이다.
카풀업계 내 이견조율도 숙제다. 운행 횟수에 대한 제한을 받아들인 카카오와 달리 풀러스는 카풀 운행 횟수를 제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운행횟수를 제한하지 않으면 카풀 운행자가 택시 기사와 차별점이 옅어진다. 카풀 운행자는 운행횟수 제한을 없애고 싶어하지만 택시업계는 ‘횟수는 물론 시간까지 제한해야한다’며 강력 반발한다. 카카오는 ‘횟수 제한, 시간 무제한’을 절충점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카풀 서비스의 안전 우려도 해소되지 않았다. 그동안 택시업계는 “택시는 택시운전 자격증 발급 이전에 성범죄·마약·폭력·음주운전 경력 등을 조회하여 자격증 취득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자격을 취득한 자도 교통안전공단에서 해당 여부를 조회하여 자격 취소한다”고 강조해왔다. 택시가 카풀보다 훨씬 안전하다는 것이다. 카카오는 범죄이력 등을 조회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카카오는 ‘운행전 크루 생체인증’, ‘이용자-크루간 ‘양방향 평가시스템’ ‘카카오 T 카풀 안심보험’ 등을 대안으로 우선 제시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