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젊어질까?…‘선거 공천 시 청년층에 30% 할당’ 검토

입력 2018-12-07 15:30 수정 2018-12-07 16:17

자유한국당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가 주요 당직자 인선과 공직자 추천에 청년층을 우대하는 내용을 검토 중이다.

비상대책위원회가 당협위원장 교체 과정에서 여성·청년에게 가점을 부여하기로 한 가운데 한국당이 젊은 피를 수혈해 노회한 보수 이미지를 탈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대위 관계자는 7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비대위 산하 청년특별위원회가 주요 당직 인선과 공직자 추천 시 청년층에게 일정 비율을 보장하는 당헌·당규 개정 검토안을 당 기획조정국에 제출했다”며 “당헌·당규개정특위가 각 실국에서 보고된 내용을 취합해 안건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년특위가 제출한 안에는 각종 선거 후보자 추천과 주요 당직 구성에 있어 정원의 30%를 청년에게 할당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여성의 참여보장 비율만 명시하고 있는 기존의 당헌 6조를 개정해 청년층의 비율도 명문화하자는 것이다.

청년층에게 공천과 당직 인선에 있어 우대권을 주는 것은 한국당 세대교체의 핵심 열쇠로 꼽힌다.

한국당은 그동안 명망가에게 공천을 주는 식으로 외부인재를 수혈해온 탓에 젊은 세대에게 진입장벽이 높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한국당 초선 의원의 평균나이가 57세에 달하는 만큼 당이 청년층에게 일정 비율의 자리를 보장해 ‘새 얼굴’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당 대학생위원회 관계자는 “그동안 한국당은 청년을 ‘동원’의 수단으로 삼아왔지 실질적으로 정치 기회를 준 적은 없었다”며 “젊은 인재가 없는 작금의 현실은 당이 자초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기성 정치인들의 반감이 만만치 않다. 실제 비대위 회의에서는 당의 청년 우대 방안에 대한 의원들의 볼멘소리가 적지 않게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재선 의원은 “젊은 친구들이 정치를 몰라서 하는 소리”라며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한 명이라도 당선될 만한 사람을 당이 영입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토로했다.

당헌·당규 개정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목소리도 당 안팎에서 나온다. 낮은 당 지지율과 신진 정치인 육성 프로그램의 부재 속에서 당헌·당규만 바꾼다고 유능한 젊은 인재들이 당을 찾을 리 없다는 것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자르는 것보다 채우는 것이 문제”라며 “곳곳을 다니며 젊은 인재들을 추천받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