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반부패비서관실 산하 특별감찰반 전원 교체 결정은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이 직접 결정했다. 특감반 내부 폭로가 나오고, 검·경 갈등으로까지 확대되는 모양새가 빚어지자 자체 조사로 결론짓기 보다는 소속기관 감찰 및 사법처리 결과를 받기로 했다.
특감반원 중에는 아예 골프를 치지 않은 사람도 있었지만 원대복귀 조치가 내려졌다. 청와대는 공정한 조사를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도 5일 “대검 감찰반의 결과가 나오면 이번 사건 성격에 대해 국민들이 올바르게 평가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처음 시작은 검찰 소속이었던 특감반원 김모 수사관의 경찰청 특수수사과 수사 진행상황 탐문 및 과학기술정통부 5급직 채용 지원 두 사안이었다”며 “하지만 김 수사관이 다른 특감반원과의 골프 회동 얘기를 꺼내면서 다시 진위 파악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지난달 14일 김 수사관을 검찰로 복귀시키며 관련 혐의를 통보하고 “나머지 사안(골프)에 대해서는 조금 더 조사하겠다”고 검찰에 전했다.
이 관계자는 “전체 특감반원 9명 중 나머지 인사들을 확인해보니 골프를 안 친 사람도 있었고, 골프를 쳤지만 문제가 없어 보이는 사람도 있었고, 일부는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검찰에서 확인해봐야할 경우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수사관 문제와 그 외 우리가 보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부분을 공문서로 만들어서 법무부로 보낸 게 전부”라고 설명했다. 경찰 수사 탐문·과기정통부 채용 지원(김 수사관)과 일부 특감반원의 골프 접대 의혹이 전부라는 의미다. 그러면서 “징계 권한이 소속 기관에 있기도 해서 정확한 조사를 위해 전원을 돌려보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의 설명이 맞는다면 골프를 치지 않은 특감반원들은 일종의 불명예 퇴진을 한 게 된다. 이 관계자는 “우선 김 수사관을 검찰로 돌려보낸 상황이고,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판단도 했다”고 말했다. 파견 기간이 1년 6개월이 넘어 인사가 임박했던 점도 감안했다.
박 비서관은 “일을 제대로 하려면 팀을 재구성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전부다 교체하는 게 좋겠다”고 건의했고, 조 수석이 받아들여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보고했다. 문 대통령은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4일 임 실장과 조 수석으로부터 관련 내용을 보고받았다. 그리고 이날 사건 전말이 드러나면 국민들이 수긍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친 것이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특감반원 중 무혐의 처분을 받은 인사들을 복귀시키는 방안도 거론됐지만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인사가 조만간 이뤄질 예정이어서 복귀는 어렵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