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박근혜 석방결의안 내자” 친박·비박 공감은 했지만…

입력 2018-12-04 18:20


자유한국당 친박근혜계와 비박근혜계 핵심 인사들이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이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도록 사법 당국에 요구하는 결의안 발의에 대해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탄핵 2년이 다 돼가도록 계속되는 친박·비박 간 계파갈등을 봉합하고 보수통합을 이루기 위한 취지다. 하지만 여전히 탄핵을 둘러싼 양측의 시각차가 커 결실을 이룰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친박계 핵심인 윤상현 의원은 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달 29일 김무성·권성동·홍문종 의원과 만나 두 전직 대통령의 불구속재판 촉구 결의안을 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얘기가 나왔고 참석자 모두 공감대를 이뤘다”고 말했다. 김 의원과 권 의원은 비박계로서 탄핵을 주도했다. 홍 의원과 윤 의원은 친박계 핵심으로 분류된다. 이 자리에는 정규재 전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조갑제 전 월간조선 편집장 등 보수 성향 언론인도 함께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당내 계파갈등을 청산하고, 문재인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보수 진영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탄핵 당시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으로서 탄핵소추위원단장을 맡았던 권 의원도 “두 전직 대통령을 모두 구속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불구속 재판 촉구 결의안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의원도 오는 6일 국회에서 두 전직 대통령의 불구속 재판을 촉구하는 내용의 토론회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친박계와 비박계 인식차가 너무 커 향후 관련 논의가 탄력을 얻을지는 불투명하다. 지난달 모임에서도 홍 의원은 비박계 좌장인 김 의원을 향해 탄핵에 찬성하고 보수를 분열시킨 데 대해 사과를 요구했고, 김 의원은 “탄핵은 소신에 따른 것”이라며 “사과할 일이 아니다”고 거절했다고 한다.



친박계 좌장이었던 무소속 서청원 의원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자기 당에서 배출한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고 당에 침을 뱉고 탈당했던 사람들이 한 마디 사과와 반성도 없이 이제 와서 석방 결의안을 내겠다고 운운하는 건 후안무치한 일”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