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물가가 두 달 연속 2%대 상승했다.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서민 연료인 등유가 유류세 인하 대상에서 빠지면서 상승을 이끌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18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3(2015년=100)으로 지난해 11월보다 2.0%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개월째 1%대를 유지하다가 지난 10월 2.0%로 2%대에 올라섰고 11월에도 같은 수준을 이어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7~9월 이후 14개월 만이다.
전월과 비교하면 물가는 0.7% 하락했다. 지난해 11월(-0.7%) 이후 하락폭이 가장 크다. 소비자물가는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해 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고 있지만 전월과 비교해 최근 흐름을 보기도 한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보다 7.5% 올랐다. 이 중 농산물은 14.4% 상승해 전체 물가를 0.6%포인트 끌어 올렸다. 토마토(44.4%), 파(35.6%), 쌀(23.8%) 등의 상승이 가팔랐다. 수산물은 3.0% 올랐고 축산물은 1.5% 내렸다.
석유류는 전년 동월보다 6.5%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0.3%포인트 올렸다. 경유(9.1%)와 휘발유(5.1%)가 모두 상승했다. 석유류 가격이 상승하면서 공업제품도 1.5% 올라 전체 물가를 0.47%포인트 높였다.
지난달부터 시작된 유류세 인하로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률은 전월보다 둔화했지만 인하 대상에서 빠진 등유는 16.4%나 올랐다. 등유 가격 상승률은 2011년 12월 19.0%를 기록한 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1.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06%포인트 상승 견인했다. 작년 10월∼올해 10월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하던 것이 도시가스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개인서비스요금은 2.5% 올라 전체 물가를 0.79%포인트 높이는 효과를 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