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좋은 이야기를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한번쯤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명감이 생기더라고요. 잘 모르고 지나갈 수 있는 이야기인데 영화를 통해 좀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영화 ‘말모이’로 돌아온 배우 윤계상은 3일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열린 제작보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극 중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는 식민 치하에 우리말 사전을 만든다는 큰 목표로 일제에 맞서는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이다.
‘말모이’는 우리말 사용이 금지된 1940년대, 까막눈 판수(유해진)가 조선어학회 대표 정환(윤계상)을 만나 사전을 만들기 위해 비밀리에 전국의 우리말을 모으는 이야기다. 엄유나 감독은 “계상씨의 출연작을 보니 끊임없이 힘든 도전을 해왔더라. 배우 윤계상이 걸어온 길이 사전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정환의 길과 겹쳐졌다”고 캐스팅 이유를 밝혔다.
윤계상은 “정환은 굉장히 신념이 강하면서도 어떻게 보면 꽉 막혀있는 느낌을 주는 인물”이라며 “자기 의지로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싶은 사람인데, 판수를 만나 인간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유해진다. 결국 혼자의 힘이 아닌 여러 사람의 의지가 모여서 큰 뜻을 이루는 게 옳다고 여기게 된다”고 설명했다.
다소 낯설게 들리는 제목은 주시경 선생이 남긴 최초의 우리말 사전 원고로 조선말 큰 사전의 모태가 된 ‘말모이’에서 따온 것이다.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자 극 중 사전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우리말을 모으는 비밀작전의 이름이기도 하다.
윤계상은 “(촬영을 하면서)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를 감당해야 하는 부분이 생기더라”며 “영화적인 모습보다 진짜였으면 하는 소망이 있었다. 그걸 품고 있으니까 조금이나마 그때 그 시절 우리나라를 위해 애쓴 분들의 마음이 느껴지더라. 촬영하면서 마음앓이를 했던 기억이 있다”고 회상했다.
극 중 정환은 유력 친일파 인사의 아들이지만 아버지의 변절을 부끄러워하는 인물로, 민족의 정신인 말을 지키는 것이 나라를 지키는 길이라는 믿음으로 비밀리에 전국의 우리말을 모으는 ‘말모이’를 이어간다. 윤계상의 진정성 있는 표현력이 돋보인다.
윤계상 “배우란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서 느낄 수 있는 최고의 느낌을 받았다. 제가 연기를 하는 이유인 것 같다”고 털어놨다. 이어 “사실 진짜 그 사람이 될 순 없는데, 진짜에 다가가면서 캐릭터가 성장할 수 있는 이유들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저 윤계상도 어느 순간 성장해감을 느꼈다”고 했다.
그는 “이 영화를 찍고 나서 연기는 이렇게 해야 되는구나, 그렇게 하는 게 진정성 있는 연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얘기했다. 유해진과 윤계상 외에도 김홍파 우현 김태훈 김선영 민진웅 등 배우들이 조선어학회 회원 역으로 합류했다. 1월 개봉 예정.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