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대학총장들이 등록금 책정을 자율에 맡겨달라고 목소리를 냈다. 재정난 등을 감안해 수년간 동결돼온 등록금을 내년에는 인상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학생과 학부모 등은 “물가인상과 수입감소로 더 이상 졸라 맬 허리띠가 없다”며 싸늘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대학총장들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은 29일 광주 남부대에서 대학과 지역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가 시작되자 대학총장들은 정부의 ‘반값 등록금’ 정책으로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며 물가인상 등을 감안한 현실적인 인상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박종구 초당대 총장은 “등록금 동결의 필요성이 부분적으로는 인정된다 하더라도 장기간 동결되는 것은 대학 운영에 부담이 된다”고 밝혔다.
대학총장들은 구조조정과 재정지원을 연계한 대학 평가가 진행되면서 지역 대학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볼멘 소리를 이어갔다.
최일 동신대 총장은 “지방은 지방대로 육성하고 지원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학을 경쟁에 논리로 빠뜨려 버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해영 의원은 “지방 대학들의 어려운 부분을 교육부와 잘 협의하겠다”고 원론적인 답변을 내놓으며 문재인 대통령의 ‘반값 등록금' 정책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실질적 등록금 인상 추진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교 재정을 무조건 등록금에서 충당하려는 자세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등록금을 무조건 올리는 것은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조선대생 김하늘(25)군은 “군 제대 후 복학해 아르바이트로 학업을 잇고 있는데 부모님들의 부담을 덜어드리기에는 역부족”이라며 “등록금만 올린다고 재정난에 빠진 지역 대학들의 재무구조가 개선될 것으로는 판단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날 김해영 의원과 총장 간담회는 광주·전남지역대학교총장협의회 5차 회의를 겸해 열렸다.
협의회 회의에는 전체 21개 회원 대학 가운데 13개 대학이 참석했다.
회의에는 조성수 남부대 총장과 김혁종 광주대학교 총장, 서강석 호남대 총장, 강동완 조선대 총장, 최일 동신대학교 총장, 노성기 목포가톨릭대학교 총장, 박종구 초당대 총장, 류지협 한려대 총장, 최일 동신대 총장, 한은미 전남대학교 부총장, 김상채 목포대 총장 직무대리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간담회와 함께 지역 발전과 지방 대학의 역할과 산업과의 공동성장 방안 등에 관한 총장들의 논의가 별도로 이뤄졌다.
회의를 주관한 남부대 관계자는 “지역 발전과 산업 성장을 위해 대학의 역할과 기능에 충실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