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청소년 간 성(性) 관련 인식 차이가 극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와 공동으로 영등포 하이서울유스호스텔 대강당에서 ‘2018 남자청소년 성교육 세미나’를 29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미투 시대, 백래시에 휩싸인 남자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대안 모색’이라는 부제를 걸고 진행됐다. 여러 전문가가 참석해 성교육 현장의 남자 청소년 백래시 사례를 분석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 방안을 함께 고민했다. 이 자리에는 청소년 성교육 전문가와 교사, 문화평론가 등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올해 우리 사회를 강타한 ‘미투(#MeToo)’ 운동을 중심으로 대화를 시작했다. 이후 여자 청소년을 주축으로 불이 붙은 ‘스쿨 미투’로 이야기가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남자 청소년의 백래시가 강해졌다고 분석했다. 여자 청소년은 자신이 당한 성폭력과 부당함을 고발하고 있지만 남자 청소년은 이 같은 사회 현상에 반발하면서 ‘모든 남성을 가해자로 몬다’ 같은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청소년 간 성 인식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녀 청소년 사이 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뚜렷했다. 센터는 9월 6일부터 30일까지 전국의 13∼18세 청소년 33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교내 성차별이 존재하냐’는 질문에 여자 청소년은 63.7%가 ‘그렇다’고 응답했지만 남자 청소년은 35.5%만 동의했다.
‘미투 운동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에 여자 청소년은 92%가 지지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남자 청소년은 60%만이 ‘그렇다’는 답변을 내놨다. ‘미투 운동이 어떤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남자 청소년 39.5%는 ‘관심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고 답했고, 여자 청소년 60.8%는 ‘페미니즘과 성 평등에 관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미투 운동과 관련해 ‘모든 남자를 성폭력 가해자로 보는 것 같느냐’는 질문에 남자 청소년 절반에 가까운 49.2%가 ‘그렇다’고 답했다. 여자 청소년은 18.1%만이 고개를 끄덕였다.
세미나에 참석한 고등학생 이재건(17)군은 “남녀 학생들이 ‘꼴페미’ ‘한남충’ 같은 혐오 표현을 재미로 쓴다”며 “이런 것들이 서로에게 상처가 된다는 걸 나눌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채윤 비온뒤무지개재단 이사는 “많은 성폭력 예방 교육이 남자 청소년이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교육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남자 청소년 입장에서 남성을 가해자로 느끼게 하기보단 동등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피해자, 신고자, 피해자의 조력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성폭력에 대한 청소년 성인식 실태조사 결과 ▲체험형 성교육 및 학교 현장의 남자 청소년 백래시 사례 ▲청소년·교사·문화평론가· 페미니스트 입장에서의 남자 청소년 성교육 방안 ▲남자 청소년이 주체가 되는 성교육을 위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종합토론에서 나온 의견은 시 및 관련 정부부처에 전달해 성교육 정책으로 반영 할 예정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