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중 20% 이상은 결혼이나 임신 등으로 일을 그만두고 재취업하지 못한 ‘경력단절여성'이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를 보면 지난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900만5000명 중 20.5%인 `비(非)취업여성'은 345만 7000명이었다. 경력단절여성 역시 지난해보다 1만5000명 늘었다. 관련 통계에 ‘가족돌봄' 사유가 추가된 2014년 이후 4년 만에 증가했다.
경력단절여성이 전체 기혼여성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도 1년 만에 0.5% 포인트 늘어난 20.5%였다. 25~54세 기혼여성 893만 8000명 가운데 비취업여성은 341만 4000명이었고 이 중 경력단절여성은 184만 7000명이었다.
경력단절여성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연령은 30~39세였다. 절반에 가까운 88만 6000명(48.0%)이나 됐다. 40~49세는 66만명(35.8%), 50~54세는 16만1000명(8.7%), 15~29세는 13만 9000명(7.5%)이었다.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연령층도 30대였다. 33.0%에 달했다. 반면 50~54세는 8.1%로 가장 낮았다.
경력단절여성은 결혼이나 임신·출산, 육아와 자녀교육, 가족돌봄 때문에 직장을 그만뒀다. 특히 결혼과 육아가 각각 34.4%, 33.5%로 경력단절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임신·출산은 24.1%, 가족돌봄은 4.2%, 자녀교육은 3.8%였다.
경력단절 기간은 10~20년 미만이 25.5%, 5~10년 미만이 24.7%였다. 3~5년 미만은 15.0%, 1~3년 미만은 13.2%, 20년 이상은 11.1%, 1년 미만은 10.6%였다.
경력단절여성 중 구직단념자는 1만3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000명(-3.7%) 감소했다.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가 5000명(37.8%)으로 가장 많았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