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대북제재 완화가 필요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비핵화 뿐만 아니라 한반도 평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27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에 따르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견인을 위해 대북제재 완화가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한 국민은 전체 응답자의 64% 수준으로 ‘공감하지 않는다(32%)’는 응답 보다 2배 정도 높았다. ‘매우 공감한다’는 응답자가 27.1%, ‘대체로 공감한다’는 36.9%였다.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서도 국민 10명 중 6명이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60.1%)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연령대 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절반 이상(51.4%)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 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30대(67.3%), 40대(64.2%), 50대(66.2%) 연령집단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예상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20대도 상대적으로 낮은 58.4%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북한에 대한 인식도 지난해와는 180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2017년 4분기 조사 당시에는 북한에 대해 국민의 42.5%가 경계 및 적대 대상이라고 봐 협력 및 지원의 대상으로 본 비율(39.9%)보다 높았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반대로 국민의 절반이 넘는 53.4%가 협력 내지 지원의 대상이라고 봤으며 경계 및 적대 대상이라고 본 국민은 28.7%에 불과했다. 지난 4월 1차 남북정상회담이 있었던 당시에는 국민의 60.1%가 북한을 협력 및 지원의 대상이라고 봐 2016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었다.
또 국민의 절반 이상(55.3%)이 평양정상회담 이후의 남북관계 진전 속도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향후 남북 간 협력에 있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분야로 철도‧도로 등 인프라분야(33.9%)와 경제협력(32.8%)등을 꼽았다.
다음으로 한국의 통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나라에 대해서도 국민 61.8%가 미국을 선택했으며 다음으로 중국(29%)을 꼽았다. 지난 3분기 조사 결과에 비해 미국은 소폭 하락(-4.2% 포인트)했으며 중국은 소폭 상승(3.5% 포인트)했다.
이번 조사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11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 포인트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