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성경만으로” 한국기독교학회, 종교개혁500주년 학술도서 총7권 완간

입력 2018-11-25 00:01

한국기독교학회(회장 노영상 백석대 교수)는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 공동학술도서’ 총 7권을 완간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기독교학회는 지난해 10월 경기도 곤지암 소망수양관에서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열고 8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진보와 보수를 망라해 한국의 신학자들 대부분이 모인 사상 첫 공동학술대회였다.

이번 저작은 그때 발표된 논문에 일부를 추가해 총 7권의 책으로 재편집한 것이다. 학회 관계자는 “종교개혁 500주년은 우리의 기독교와 교회를 성찰하는 시간이었고, 저항과 변혁이라는 종교개혁의 두 키워드는 오늘의 침체된 한국교회를 돌아보기에 충분했다”고 밝혔다.

1권의 제목은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사상’ 2권 ‘존 칼빈의 종교개혁 사상’ 3권 ‘루터와 칼빈의 성경해석’ 4권 ‘종교개혁과 오늘의 교회개혁’ 5권 ‘종교개혁 신학의 전통과 그 영향’ 6권 ‘종교개혁과 실천신학적 과제’ 7권 ‘종교개혁과 기독교인의 윤리적 삶’이다. “오직 성경만으로, 오직 은혜만으로, 오직 믿음만으로, 오직 그리스도 예수만으로,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자는 루터의 구호 그대로 한국교회의 갱신과 개혁을 위한 조언들을 담았다고 학회 측은 밝혔다. 다음은 7권의 저서 제목과 목차.


『제1권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사상』
제1부 마르틴 루터의 교리신학
1장. 루터의 칭의론과 성화론의 관계: 대(大) 『갈라디아서 주석』(1535년)을 중심으로/ 우병훈(고신대)
2장. 루터의 만인제사장론과 선교적 교회: 베드로전서 2장 9절의 해석을 중심으로/ 박영호(한일장신대)
3장. 마르틴 루터의 신인양성의 속성간의 교류와 쯔빙글리의 아뢰오시스(I): 종교개혁 이전에 ‘속성간의 교류’ 신학의 형성/ 조병하(백석대)
제2부 마르틴 루터의 신학과 신앙생활
4장. 루터의 종교개혁과 자기개혁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김태수(백석대)
5장. 루터에 따른 성령과 오늘날 신앙생활의 적용/ 강응섭(예명대)
6장. 양심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과 한국 개신교회에 던지는 도전/ 김선영(실천신대)
제3부 마르틴 루터의 신학과 목회
7장. 루터의 소명론에 대한 선교적 해석과 적용: 선교적 그리스도인/ 한국일(장신대)
8장. 루터의 목회실천과 21세기 한국교회 목회의 새로운 전망/ 김정준(성공회대)
9장. 마틴 루터 코랄찬송의 예전적 회중성에 대한 이해: 현대예배의 올바른 찬송활용과 성서적 가치회복/ 양정식(서울신대)
제4부 마르틴 루터의 신학과 현실정치
10장. 종교개혁전통에서 본 국가론: 헬무트 틸리케와 헤르만 도예베르트의 국가론 비교연구/ 이상원(총신대)
11장. 루터신학의 정치철학적 함의/ 천병석(부산장신대)
12장.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과 한국교회의 정치 참여/ 장문강(경희대)

『제2권 존 칼빈의 종교개혁 사상』
제1부 존 칼빈의 교리신학
1장. 한국교회 개혁과 이중은혜론/ 유태주(한일장신대)
2장. 교리의 본질에 대한 하나님 중심적 재고: 현대의 세 연구 사례와 칼빈의 ‘독트리나’개념을 중심으로/ 한상화(아신대)
3장. 공교회 삼위일체론에 대한 칼빈의 비판적 계승과 신학적 공헌/ 김은수(백석대)
제2부 존 칼빈의 신학과 여타 신학과의 비교
4장. 종교개혁의 해명: “오직 성경으로만” 파리 대학 신학부의 25개 신조(1542)와 칼빈의 해독제를 예시로/ 김병훈(합신대)
5장. 재건설과 개혁: 『재세례파 논박』에 나타난 칼빈의 종교개혁 이해/ 김요섭(총신대)
6장. 중생 전후의 인간 상태에 대한 칼빈과 웨슬리의 견해 비교연구/ 유창형(칼빈대)
7장. 칼빈과 몰트만의 교회론 비교 연구: 삼위일체적 관점에서/ 박태수(성서대)
제3부 존 칼빈의 선교신학
8장. 종교개혁자 칼빈의 선교/ 장훈태(백석대)
9장. 존 칼빈의 선교적 신학과 전방개척선교이해/ 정경호(총신대)
10장. 칼빈의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사회복지사상/ 김기원(서울장신대)
제4부 존 칼빈과 기독교인의 삶
11장. 목회 상담자로서의 칼빈 재조명/ 전형준(백석대)
12장. 칼빈의 자연과학/ 이신열(고신대)

『제3권 루터와 칼빈의 성경해석』
제1부 루터와 칼빈의 성경해석과 현대적 적용
1장. 참된 교회 표지로서의 말씀선포에 대한 칼빈의 견해/ 안인규(백석대)
2장. 루터의 성서해석과 그 현대적 적용/ 김준현(루터대)
3장. 루터와 칼뱅의 성서해석과 한국교회 시편 해석을 중심으로/ 하경택(장신대)
4장. ‘오직 성서만으로?’ 해석의 힘과 힘의 해석: 21세기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한 구약신학/ 우택주(침신대)
5장. 루터의 갈라디아서 해석과 한국교회/ 김현광(한국성서대)
제2부 루터와 칼빈의 성경해석의 실제
6장. 칼빈의 『기독교강요』와 칼빈 주석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장석조(성경신대)
7장. 루터와 칼빈의 산상/평지설교에 관한 연구/ 소기천(장신대)
8장. 칼빈의 시편설교 연구/ 김대혁(총신대)
9장. 루터의 시편 해석 방법론 연구: 1517년 전과 후가 얼마나 다른가?/ 김진규(백석대)
10장. 마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마태복음과의 연관성: 오늘날 한국 현실에 그 적용/ 류호성(서울장신대)
11장. 베자의 국가 저항권에 대한 이해: 종교전쟁의 과정에서 나타난 저항정신의 발전 과정/ 양신혜(대신대)
12장. 루터와 경천애인: 루터의 빌립보서 2장 이해에 나타난 “하나님 경외”의 한국 교회에 대한 실천적 적용/ 김의창(횃불트리니티)

『제4권 종교개혁과 오늘의 교회개혁』
제1부 종교개혁이 오늘에 주는 의미
1장. <주제발표> 세상의 생명을 위한 말씀과 성령의 변혁운동으로서의 종교개혁/ John W. de Gruchy(케이프타운대)
2장. 16세기 종교개혁이 21세기 교회에 주는 사상적 유산/ 김영한(숭실대)
3장. 종교개혁의 독특성과 현대적 의미/ 이오갑(KC대)
4장. 종교개혁과 오늘날의(한국 개혁) 교회개혁/ 김성봉(성서대)
5장. 온전한 복음의 회복과 현대적 종교개혁/ 김현진(평택대)
제2부 종교개혁과 한국교회의 개혁
6장. <주제발표> 한국개신교회의 개혁을 위한 몇 가지 제안/ Malte Rhinow(루터대)
7장. 루터와 칸트의 ‘신앙의 자유의지’에 관한 비교연구/ 신혜진(이화여대)
8장. 21세기 한국 교회의 정황과 종교개혁/ 이승구(합신대)
9장. 루터의 종교개혁의 빛에서 본 한국교회 개혁을 위한 기독교인의 윤리의식: 루터의 종교 개혁 3대 논문을 중심으로/ 박삼경(서울신대)
10장. 종교개혁과 한국교회의 종말론적 연관성에 관한 연구/ 박응규(아신대)
11장. 개혁자들의 신앙고백과 한국교회: 바르트(K. Barth)의 스코틀랜드 요리문답 해석을 중심으로/ 이상은(서울장신대)
12장. 한국 교회 및 사회 개혁을 추구하는 ‘삼위일체적 커뮤니온의 교회론’의 형성과 실천/ 백충현(장신대)

『제5권 종교개혁 신학의 전통과 그 영향』
제1부 종교개혁 정신의 뿌리
1장. 종교개혁의 은총교리와 그 창조적 변혁/ 김재성(국제신대)
2장. 한국교회와 마르틴 부처(Martin Bucer)/ 최윤배(장신대)
3장. 욕망의 개혁: 바울, 아우구스티누스, 칼빈을 딛고 라캉, 지젝과 대화하기/ 최승락(고신원)
4장. 여성신학적 신 인식론: 츠빙글리 신학의 현대적 재적용/ 정미현(연세대)
제2부 종교개혁이 후대에 미친 영향
5장. 도르트총회(1618-1619) 직전 시대의 네덜란드 교회와 국가 관계의 배경 연구/ 안인섭(총신대)
6장. 16세기 성공회 종교개혁 어떻게 읽을 것인가?/ 양권석(성공회대)
7장. 종교개혁자들과 로마가톨릭의 교회론 대화: 아조르나멘토 교회론에 대한 베커와 설리번의 논쟁을 중심으로/ 최덕성(브니엘)
8장. 결정적 성화(definitive sanctification) 개념과 구원의 순서(the ordo salutis)사이의 관계성 고찰/ 박재은(총신대)
9장. 마틴 루터와 존 칼빈의 렌즈로 본 존 머레이의 ‘결정적 성화’ 개념에 대한 비평적 이해: 온고지신을 통한 ‘신분적 성화’로의 수정을 위하여/ 전대경(평택대)
10장. 불교의 체·상·용 원리를 통해 본 루터의 신비주의/ 김명희(성공회대)
제3부 종교개혁 정신과 존 웨슬리의 신학
11장. 종교개혁신학의 수용과 극복으로서의 존 웨슬리의 칭의론/ 김영택(성결대)
12장. 웨슬리의 예언자직 이해안의 성령론적 기독론의 자취와 그 현대적 의미들 / 황덕형(서울신대)
13장. 존 웨슬리의 죽음 이해에 대한 고찰/ 김영선(협성대)

『제6권 종교개혁과 실천신학적 과제』
제1부 종교개혁과 교육
1장. 교육을 통한 개혁으로서의 16세기 종교개혁 운동/ 노영상(백석대)
2장. 종교개혁과 통전적 기독교교육: 가정, 교회, 마을교육공동체를 중심으로/ 조은하(목원대)
3장. 종교개혁시대의 신앙요리문답교육의 현대적인 의미와 의의: 루터, 칼빈, 하이델베르그 신앙요리문답서를 중심으로/ 정일웅(총신대)
제2부 종교개혁과 예배
4장. 종교개혁 예배규범의 방향과 한국교회 예배개혁 에제리아 순례기(Egeria's Philgrimage)에 기술된 4세기 예루살렘 예배규범을 중심으로/ 나인선(목원대)
5장. 교회음악에서 전통적 찬송가와 CCM의 융합: 마르틴 루터 회중찬송의 관점에서/ 이문승(서울신대)
6장. 독일 회중찬송을 통해서 본 마르틴 루터의 합리적인 수용성에 관한 고찰/ 차수정(침신대)
7장. 종교개혁과 시각예술: 루터의 이미지 활용을 중심으로/ 박종석(서울신대)
제3부 종교개혁과 상담 그리고 선교
8장. 종교개혁과 목회상담: 아나뱁티스트의 신앙과 실천을 중심으로/ 김용민(침신대)
9장. 종교개혁과 변혁의 선교학: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안신(배재대)
10장. 종교개혁 이후에 나타난 선교적 영성: 경건주의자들과 웨슬리, 심프슨을 중심으로/ 구성모(성결대)
제4부 종교개혁과과 리더십
11장. 종교개혁 영성에 내재된 서번트 리더십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 연구/ 조성호(서울신대)
12장. ‘자기개혁’으로 본 다윗과 사울의 대화분석(삼상 17:31-40)/ 여한구(국제신대)
13장. 투레틴의 논박신학 강요를 통해 본 교역자의 사례비 연구/ 공헌배(한국기독교학술원)

『제7권 종교개혁과 기독교인의 윤리적 삶』
제1부 종교개혁과 의지의 자유
1장. “인간 의지와 칭의·성화 관계에 대한 연구”/ 권호덕(백석대)
2장. 다윗의 인구조사, 회개와 개혁(대상 21:1-22:1)/ 이창엽(안양대)
3장. 종교개혁자들의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한 소론/ 박찬호(백석대)
4장. 정류(靜流) 이상근박사의 마태복음 주석에 나타난 개혁사상: 베드로의 신앙고백(마 16:15-20)을 중심으로 / 배재욱(영남신대)
제2부 종교개혁과 공교회성의 문제
5장. 공교회성 회복과 한국 교회의 개혁: 여호수아의 땅 분배와 신약교회의 보편성 관계/ 서창원(총신대)
6장. 사회의 보편적 가치관과 기독교의 책무성에 관한 웨슬리의 이해/ 임승안(나사렛대)
7장. 종교개혁의 스캔들, 그 불관용의 역사와 한국개신교회의 과제/ 이승갑(한일장신대)
제3부 종교개혁의 사회사상
8장.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DANO 개념과 종교개혁신학의 한국교회에 대한 윤리적 요청/ 이동춘(장신대)
9장. 종교개혁의 관점에서 바라본 기본소득의 의미와 적용/ 오단이(숭실대), 서봉균(복지와경제연구소)
10장. 특종, 95개 논제: 종교개혁과 언론미디어 혁명: 손석희 저널리즘과 비교하여 / 윤영훈(성결대)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