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철도 연결 및 현대화 사업을 위한 공동조사와 연내 착공식이 본격 속도를 낼 전망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24일 “정부가 그간 남북 철도 공동조사 관련해 추진해온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와의 협의 절차가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앞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23일(현지시간) 남북 철도 연결 공동조사 관련 활동에 대한 대북제재를 면제하기로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에 남북 철도 연결 및 현대화 사업을 위한 공동조사에 필요한 유류 등 물품 및 자재의 반출과 남측 열차의 북측 구간 진입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당국자는 “정부는 남북관계 주요 사업 추진 과정에서 대북제재의 틀을 준수하면서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한다는 원칙을 견지해 왔다”고 설명했다.
남북은 지난달 고위급 회담에서 10월 하순부터 경의선 철도에 대한 북측 현지 공동조사를 시작하기로 했지만 최근까지 구체적인 일정을 내놓지 못했다. 미국, 유엔 등과의 제재 면제 절차 협의가 지연되면서 남북 철도 공동조사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한 것이다.
이 때문에 남북이 이달 말에서 다음 달 초 열기로 한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도 지연될 것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워킹그룹 1차 회의에서 미국 측이 철도 공동조사에 대해 ‘강력하고 전폭적인 지지’를 강조하면서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워킹그룹 첫 회의를 마치고 귀국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가까운 시일 내 (철도 공동조사 관련)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본부장이 언급했던 철도 공동조사 관련 좋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미 간 구성한 워킹그룹이 초반부터 존재감을 드러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향후 남북 간 연락채널을 통해 구체적인 일정이 조율되면 공동조사는 물론 착공식까지 속도감 있게 연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