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23일 방송통신위원회의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방침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언론인 출신 한국당 국회의원들은 “중간광고는 정권 창출과 유지에 기여하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에 대한 정치적 보너스”라며 일제히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정용기 한국당 의원 주최로 열린 ‘지상파 중간광고 관련 대토론회’에서 “지상파 방송의 정파색이 강화되면서 많은 분들이 채널을 돌리고 있다. 광고 수입은 떨어지고, 적자경영이 되는 게 당연하다”며 “방송의 공정성을 살려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중간광고를 도입해 (적자를 만회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권에서 중간광고 허용을 강행하려는 의지가 뭔지 걱정”이라며 “다른 무엇보다 방만한 조직과 운영을 바로잡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언론인 출신 소속 의원들도 비판에 가세했다. 방송기자 출신인 김영우 의원은 “문재인 정권의 방송 장악 음모는 목불인견(目不忍見)이라 생각한다”며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에는 순수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신문기자 출신인 박대출 의원도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은) 방송과 권력의 정치적 거래처럼 비춰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사안”이라며 “무엇보다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졸속 허용은 방송의 권력 종속을 심화시키고, 미디어 생태계를 더욱 왜곡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역시 신문기자 출신인 강효상 의원은 비판의 수위를 높여 “지상파 방송들이 민주노총 언론노조와 문재인 정권의 하수인으로 전락했다”면서 “정부의 중간광고 허용은 정권 창출과 유지에 기여하고 있는 지상파 방송에 대한 정치적 보너스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질 나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공영방송의 편파성과 방만 경영이 심각한 상황에서, 정권의 전리품 나눠주기식 정책을 결코 허용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KBS의 수신료가 10년간 1000억원이 증가했다”며 “KBS가 수신료를 강제징수하지 못하도록 전기료와 수신료 청구를 분리하는 방안과 중간광고를 전면금지하는 내용까지 포함하는 방송법 개정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