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대표 “이재명 문제, 정무적으로 판단할 단계 아냐”

입력 2018-11-23 14:38

이해찬 더불어민주당대표가 23일 ‘혜경궁 김씨’ 논란에 휩싸인 이재명 경기지사 사건에 대해 “정무적으로 판단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 이 대표가 해당 사안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힌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사건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언론 보도된 것 말고는 잘 모른다”며 “사건의 수사 과정, 검찰의 송치 후 공소 과정, 법원의 재판 과정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안희정 전 충남지사는 그날 바로 본인의 잘못된 처세에 대해 시인하고 사과를 했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없어서 당에서 징계 절차를 밟았던 것”이라며 “김경수 경남지사나 이 지사는 본인이 부인하고 있기에 당에서도 신중히 접근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판 과정에서 어느정도 사안이 확인 돼야 절차를 밟을 수 있지 현재 상태에선 밟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최근 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5당 대표와의 만찬 자리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실시에 난색을 표명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이 대표는 “우리 당이 그동안 공약한 것은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라며 “정당득표율과 비례대표를 어떻게 연계시키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아직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에서의 비례성 약화를 보장하는 방안으로 우리가 어느 정도 양보할 수 있다는 것이지 100% 비례대표에게 몰아주겠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어떤 방식의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할 것인지에 대해선 구체적인 검토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현안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먼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논의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참여하지 않아도 내년에 국회에서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처리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민주노총이 참여를 안 한다고 해서 경사노위 자체가 매듭을 안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답했다. 이어 “경사노위가 충분히 토론을 통해 결론이 만들어지면 국회에서 처리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야권의 국정조사 요구를 수용한 것과 관련한 민주당 내 반발 기류에 대해선 “반발하는 의원이 많지 않다”며 웃었다. 그러면서 “제가 국정조사를 반대했다고 나오는데, 국정조사를 할 때 너무 부당한 요구는 받아들이지 말라는 의견일 뿐 합의 자체에 반대는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민주당 지지율이 8주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대해서도 “지지율에 너무 일희일비할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지금 40%에서 0.2%포인트 빠진 수치가 전날 나왔기에 그 사실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더욱 노력해서 만회를 해야겠다”고 밝혔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