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유통이 해양생태계를 빠르게 회복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충남도에 따르면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는 지난 5월부터 최근까지 태안군 안면읍 황도에서 ‘갯벌 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연구소는 이번 연구를 위해 황도 주변 바다(갯벌) 4개 지점에서 수질과 해저 퇴적물, 해양 생물 등에 대한 문헌 조사와 현지 조사를 병행했다.
조사 결과 황도 주변 바다는 지난 1982년 연도교 설치 이후 조류 흐름이 감소하고 뻘이 퇴적되면서 ‘죽뻘(뻘갯벌)화’가 진행됐다.
특히 황도 남쪽 갯벌은 패류보다 지렁이류가 더 많아졌을 뿐 아니라 갯벌 기능마저 상실해 어업 활동이 배제된 지역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2011년 12월 연륙교 완공 이후 바닷물이 유통되기 시작하자 갯벌 내 모래 함유량이 대폭 늘고 바지락 생산량도 크게 증가했다.
연륙교 건설 전후 황도 주변 갯벌 모래 함유량은 남동쪽이 73.7%에서 81.1%로, 북동쪽이 56.9%에서 86.5%로 늘었다. 또 북쪽은 43.7%에서 69.4%로, 남쪽은 10.7%에서 44.5%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황도 지역 바지락 생산량은 연륙교 건설 전인 2009~2011년 연평균 133t에서, 2012~2017년 연평균 194t으로 61t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태안 지역 바지락 생산량은 1265t에서 1155t으로 114t이 감소했다. 바지락의 경우 갯벌 내 모래 함유량이 60∼80% 이상일 경우 밀집도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황도 주민에 대한 탐문 조사 결과 어업인들은 연륙교 인근에서 그동안 보이지 않던 감성돔·농어가 낚인다고 증언했다.
박정주 충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충남도는 해양과 갯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미 이전부터 연안·하구 생태복원을 추진 중이다”라며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알 수 있듯 해양생태계 회복 문제는 해수유통이 정답”이라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