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14년 만에 개방되는 용산 미군기지에 대해 시민들이 조속하게 이용하도록 조치할 것을 서울시에 당부했다.
홍 원내대표는 16일 서울시청에서 가진 민주당-서울시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용산 미군기지가 내년에 서울시의 품으로 돌아온다”면서 “실제로 점검해보니 환경문제 등 미군과 협상이 남아있어 이 문제를 내년 이양받기 전에 해결하지 않으면 시민들이 4~5년 뒤에나 이용할 수 있어 대단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0년째 협상 때문에 아직도 활용하지 못하는 미군 기지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는 시장을 비롯해 서울시에서 단계적으로 주민들이 산책하는 것부터 공원화하는 것까지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며 “미군이 떠나도 바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지 점검해주길 바란다. 당에서도 정부와 함께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지난 1월 용산 주한미군 기지에 위치한 한미연합사령부 본부를 국방부 청사 구역으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미연합사 본부 이전이 실행되면 주한미군 기지의 반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12일 민간을 대상으로 첫 용산기지 버스투어를 진행해 처음으로 민간에 공개하기도 했다.
홍 원내대표는 지방분권과 관련, “이번 정기국회에서는 지방분권 제도화를 완성하는 지방이양 일괄법과 재정분권을 위한 부수법안을 처리할 계획”이라며 “정기국회에서 (관련 법안을) 반드시 통과시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제 국회에서 보수야당이 보이콧을 해서 본회의에서 법안처리를 못했다”며 “야당이 대통령의 정당한 인사권 행사를 문제 삼아 무리한 요구를 계속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