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15일(현지시간)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그간의 성과와 한미 동맹의 중요성에 대한 양국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을, 펜스 부통령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비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강조하며 입장차이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싱가포르 센텍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회담에서 “북한을 대화로 이끌어내고 지금의 상황을 만들어낸 것은 강력한 한미동맹의 힘이었다”며 “앞으로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남북 관계와 북미 관계가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양국 간 긴밀한 협력과 공조가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과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 그리고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2차 북미정상회담이 이뤄지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프로세스에 큰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펜스 부통령도 “공동의 노력을 통해 많은 발전이 있었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더 이상 북한의 미사일 발사라든지 핵 실험은 없고 인질들도 풀려난 상태이기 때문에 많은 진전이 있었다는 말을 함께 나눴다”며 한반도 평화와 관련한 그간의 성과에 공감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2차 정상회담에 저희도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며 “더 긴밀하게 조율을 하면서 궁극적으로 한반도 안보나 평화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해나가고자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며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비가역적인 비핵화를 이뤄내야 하는 부분에서 진전을 봐야 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계속 노력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양국 간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펜스 부통령은 지난 9일 워싱턴포스트(WP)에 실은 기고문에서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할 때까지 모든 인도·태평양 국가들이 대북 제재를 포함한 압박 유지를 요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