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4기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이끄는 경기교육의 밑그림이 나왔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학생들의 미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미래교육국’과 지역과 더불어 상생 차원의 ‘교육협력국’ 신설이 단적으로 말해주듯 학생들의 미래 준비와 지역과 상생이 핵심이다.
이 교육감은 14일 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미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미래교육국’과 경기도와 각 시·군 및 관련 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위한 ‘교육협력국’을 각각 신설한다”며 “도교육청은 사업 중심의 기구에서 정책 중심으로 전환한다. 이는 중앙집중, 중앙통제에서 학교자치, 지역중심의 사업으로의 전환”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이 교육감의 정책 기조는 내년 예산 편성에 여실히 반영됐다.
학생들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우선 조건 덕목을 창의성과 주체적인 판단력 함양에 두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 독서교육과 토론교육 활성화에 뒀다.
이와 관련 78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우선적으로 모든 학교에 사서교사를 배치하기로 했다.
또 학교교육을 지역과 더불어 상생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각 학교에 학교 예산 운영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보장했다.
학교기본운영비를 무려 13%나 증액해 편성의 권한을 각 학교에 전적으로 맡긴 것은 대표적 사례다.
도교육청이 정책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사업은 각 교육지원청, 지역의 학교를 중심으로 시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교육감은 최근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사립유치원과 관련해서는 “유아교육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갖추기 위한 ‘유치원 3법’도 통과되어야 한다”며 유치원 회계 및 설립 관련 ‘유아교육법’의 개정, 유치원 회계 및 임용권자의 징계 의무 이행과 관련 ‘사립학교법’ 개정, 유치원 급식의 현행 ‘학교급식법’ 적용 대상 포함 등을 나열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