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실시된 전북대 총장 선거에 경찰청 간부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교수들이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북대 교수 34명은 13일 교내 박물관 세미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 경찰청 소속 김모 경감의 선거개입 의혹에 대한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밝혀야한다”고 촉구했다.
교수들은 “거점 국립대 총장 선거가 진행 중인 시기에 특정 후보자에 대해 내사를 하거나, 내사 사실을 공개하는 것은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며, 특히 (내사설은) 선거가 끝난 후 유야무야 됐다”라고 배경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당시가 선거기간인 줄 몰랐다는 경찰의 해명은 우리를 더욱 분노하게 한다”라며 “경찰의 내사 관련 정보 공개는 선거를 진흙탕으로 만들고 그를 통해 부당한 이득을 취하려는 조직적 음모라고밖에 볼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교수들은 “결국 실체도 없고 근거도 없는 ‘내사' 사태로 축제의 장이 돼야 할 선거가 난장판이 됐다”라며 “올바른 선거 풍토를 조성하고 전북대의 짓밟힌 자존심과 실추된 명예 회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라고 거듭 촉구했다.
앞서 지난달 17일 경찰청 김모 경감이 자신의 명함 사진과 함께 “교수님, 경찰청 김00 경감입니다. 이남호 총장 비리 관련하여 통화를 했으면 합니다”라고 쓴 문자메시지를 전북대 교수에게 보낸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더욱이 김 경감은 1주일 뒤 선거 토론회 날 현장을 방문해 일부 후보자를 접촉하며 관련 사실을 조사해 파문이 커졌다.
이후 문자메시지가 공개되며 ‘이 총장의 비리 내사 여부’가 선거 쟁점으로 떠올랐다. 29일 열린 선거에서 이 총장은 3차까지 가는 투표 끝에 2위를 기록했다.
파장이 커지자 경찰은 “비리 첩보와 관련해 정보 확인을 하려던 과정이었으며, 선거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즉시 조사를 중단했다”라고 해명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