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5일에 치러지는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대비해 특별교통대책을 추진한다.
올해 수능은 15일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40분까지 치러진다. 서울에서는 208개 시험장에서 13만여명의 수험생이 응시한다.
서울시는 수능 당일 수험생의 교통 편의를 위해 등교시간대 지하철 운행 횟수 증설, 버스 배차간격 최소화, 택시부제 해제, 비상수송차량지원 등에 나선다.
서울시 지하철 집중 배차시간을 오전 7~9시에서 오전 6~10시로 2시간 연장한다. 이 시간 동안 지하철 운행을 총 28회 늘린다. 예비 차량도 16편 대기시켜 긴급 상황 발생 시 즉시 투입키로 했다.
시내·마을 버스는 오전 6시부터 8시10분까지 최소 배차간격으로 운행한다. 오전 4시부터 낮 12시까지 택시부제를 해제해 1만6000여대를 추가 운행토록 한다.
‘수험생 수송지원차량’ 안내문을 부착한 민·관용 차량 790대가 수험장 인근의 지하철역, 버스정류소, 주요 지점 등에 대기할 예정이다. 수험생이 승차를 요청하면 수험장까지 무료로 데려다 준다.
장애인콜택시 이용을 원하는 수험생은 장애인콜택시 고객센터를 통해 사전 예약할 수 있다. 콜택시 이용 대상은 1·2급 지체 및 뇌병변, 기타 휠체어 이용 1·2급 장애인 수험생이다. 사전 예약을 하지 않았더라도 시험 당일 수험생의 요청이 있으면 우선 배차된다.
서울시는 시, 자치구, 공사 등의 시험 당일 출근시간도 평소보다 1시간 늦은 오전 10시로 조정한다.
등교시간대 교통 혼잡 대비, 자치구공무원, 민간단체 봉사자 등 2800여명이 이른 아침부터 경찰과 함께 수험장 주변이나 교통이동 주요지점에 배치된다. 교통질서를 유지하며 수험생의 이동과 안내를 도울 예정이다.
수험장 인근 공사장 소음 자제, 버스·택시 등 차량 경적 자제 등을 사전에 요청했다. 각 자치구가 시험장 주변을 순회하며 소음 관리에 나선다.
수험생들은 예비 소집일에 대중교통을 이용해 수험장을 미리 방문해 버스 노선이나 가까운 역사 출구, 도보 이동 경로 등을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다.
고홍석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13만여 수험생들이 온전히 시험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교통편의를 지원하겠다”며 “응원 차원에서 수험장을 찾는 가족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일반 시민들도 교통대책 추진에 협조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나연 인턴기자,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