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9일 전당대최 개최 시기와 활동기간 등을 두고 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와 사사건건 충돌해온 전원책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변호사)을 경질했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오후 1시30분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한국당 비대위는 전 위원이 어제 비대위 결정사항에 대해 동의할 뜻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위원직 해촉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앞서 김 사무총장은 전날 공개석상에서 비대위 차원의 경고를 전달한 뒤 저녁에 전 위원을 만나 절충을 시도했다. 김 사무총장은 ‘다음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는 내년 2월말 전후에 열려야 한다. 연기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했지만 전 위원은 전당대회 연기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전 위원은 이날 오후 3시 예정된 조강특위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한국당은 이 회의 시작 전에 전 위원 해촉을 결정했다. 당 지도부가 이러한 초강수 카드를 꺼낸 것은 전 위원이 비대위 경고 이후에도 비대위를 비판하는 언론 인터뷰를 한 것이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김 사무총장은 “전 위원이 언론 인터뷰를 통해 비대위 결정에 동의할 수 없다는 뜻을 표시했다. 비대위 전원이 협의를 통해서 해촉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전 위원은 이날 보도된 헤럴드경제 인터뷰에서 “나는 잃을게 없다. 짜르려면 짜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비대위가 2월 전당대회를 고집하는 명분으로 1~3명 뽑는 보궐선거 공천을 들고 있다. 그깟 보궐선거가 한국당의 쇄신보다 중요한가”라고 말했다. 전날 뉴시스 인터뷰에서도 “(김병준 비대위원장이) 언론사 카메라가 쫓아다니니 국민들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 모른다. 그런다고 자기에게 대권이 갈 줄 아느냐”고 독설을 퍼붓기도 했다.
당 지도부는 전 위원을 제외한 다른 조강특위 외부위원과는 쇄신 작업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김 사무총장은 “비대위는 저에게 바로 외부 위원을 선임해 일정에 차질 없게 해 달라고 지시했다. 바로 위원 1인을 선임해 비대위와 협의하고 정상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