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2 판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유나 소탈라(세랄)가 블리즈컨마저 점령하며 ‘새 시대’를 예고했다.
세랄은 4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된 2018 스타크래프트2 WCS 글로벌 파이널 결승전에서 김대엽(Stats)을 4대 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세랄의 ‘도장 깨기’ 기세가 매섭다. 앞서 한국에서 열린 ‘GSL vs the world’에서 국내 내로라하는 선수들을 잇달아 이기며 돌풍의 중심에 선 세랄이다. 바야흐로 스타크래프트2 최고의 무대에서도 우승컵을 들며 자신의 기량이 우연이 아님을 증명했다.
‘블루시프트’에서 진행된 1세트에서 세랄이 기선을 제압했다.
김대엽은 예언자 1기로 세랄의 드론을 6기 솎아내며 유리하게 출발했다. 세랄은 곧장 저글링 러시로 사도벽을 뚫고 들어갔으나 예언자의 수비에 막혔다.
김대엽은 분광기에 집행관 2기를 태워 질럿을 다수 소환한 러시를 감행했으나 바퀴 다수를 준비한 세랄에게 막혔다. 세랄은 곧장 바퀴 소수로 김대엽의 정면을 급습해 파수기를 끊었다. 바퀴와 궤멸충을 모은 세랄은 군단 숙주를 조합해 효율적인 전투 준비를 이어갔다. 김대엽은 불멸자 다수가 있었지만 계속되는 저그의 러시에 병력 구성이 무너졌다. 곧장 GG가 나왔다.
2세트 ‘세룰리언 폴’도 세랄이 이겼다.
김대엽은 이번에도 예언자 러시를 준비했으나 큰 득점을 올리지 못했다. 세랄의 저글링 찌르기 역시 별다른 결과물이 없었다.
김대엽은 로봇공학시설 2개에서 불멸자를 쏟아내며 타이밍을 노렸다. 김대엽이 질럿을 섞어 전진하자 세랄이 히드라-바퀴 드랍으로 김대엽의 본진을 습격했다.
김대엽의 본대가 우세했지만 측면 드랍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세랄의 수송 병력이 김대엽의 본진을 초토화하는 사이 김대엽의 본대는 추가 병력 부족으로 고전했다. 세랄은 추가 히드라리스크로 김대엽 병력을 모두 처치하며 게임을 마무리했다.
3세트 ‘드림 캐쳐’를 지배한 건 세랄이다.
불사조를 모으며 저그 일벌레를 정리한 김대엽은 확장기지를 차근히 가져가며 불멸자 중심의 병력을 구성했다.
그러나 김대엽의 소극적인 플레이가 발목을 잡았다. 수비 반경이 넓은 맵 특성상 수비적인 플레이는 저그에게 기회를 줬다.
세랄은 소수 맹독충으로 잇달아 이득을 취하면서 점막을 빠르게 확장했다. 군단 숙주 체제를 완성한 뒤 일방적인 공격이 이어진 끝에 김대엽이 항복을 선언했다.
4세트 ‘애시드 플랜트’에서 김대엽이 처음으로 반격했다.
김대엽은 우주 관문을 2개를 건설하며 불사조를 쌓았다. 세랄이 완벽한 수비체제를 구축했지만 프로토스도 확장기지를 활성화한 뒤라 나쁠 것 없었다.
불멸자와 집행자를 조합한 김대엽은 고위 기사를 추가한 뒤 전진했다. 세랄이 군단 숙주로 맞섰지만 김대엽의 본대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확장기지를 파괴한 김대엽은 GG를 받아냈다.
5세트 ‘프랙처’에서도 김대엽의 굳건한 플레이가 빛났다.
김대엽이 암흑 기사로 세랄의 확장기지를 흔들었다. 이어 집행관으로 돌아온 김대엽의 소수 병력이 바퀴를 솎아내며 저그를 가난하게 했다.
김대엽이 불멸자와 질럿을 모아 정면 돌파를 시도했다. 세랄이 빠르게 군단 숙주를 확보해 막았다. 고위기사를 추가한 김대엽이 중앙을 장악하며 군단 숙주에 대처했다.
질럿 측면 찌르기로 집중을 분산시킨 김대엽은 세랄의 확장기지를 무너뜨리며 게임을 승리로 가져갔다.
6세트 ‘패러사이트’에서 세랄이 우승의 마침표를 찍었다.
김대엽은 가스 채취를 빠르게 하며 우주관문 2개를 돌렸다. 다수의 불사조로 상대 일벌레를 잡은 김대엽은 두 번째 확장 기지를 무난하게 활성화했다.
세랄이 군락을 일찍 가는 것을 확인한 김대엽이 불멸자 다수를 섞어 정면으로 진출했다. 그러나 정면 공격이 더딘 사이 세랄이 무리 군주를 생산했다.
후반 양상에서 김대엽이 폭풍함에 이어 우주 모함, 모선을 생산했다. 타락귀 다수에 무리 군주를 조합한 세랄이 프로토스 확장기지를 차례로 무너뜨리며 승기를 잡았다.
프로토스의 공중 본대를 급습하며 병력 구성을 무너뜨린 세랄은 저글링-맹독충 소수로 탐사정을 솎아냈다. 사방에서 들어오는 저그 벙력을 김대엽이 버티지 못했다. 자원이 마르며 결국 GG를 선언했다.
사진=중계화면 캡쳐
이다니엘 기자 dne@kmib.co.kr